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내일 24일 발표>
추천 0 | 조회 191 | 번호 12816985 | 2020.03.23 15:04 10루타투자자 (tttttt8***)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내일 24일 발표>두산중공업 상한가.이미 아시아나 급등하네요
내일 상한가가요
정부, 2차 비상경제회의서 채권·주식시장 안정대책 발표:아시아나항공 두산중공업 포함된다
문대통령, SNS서 "채권·주식 안정화 강력대책 세울 것"
靑 "이번주 비상경제회의서 채권시장 안정대책 마련"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정부가 채권·주식시장의 안정을 위한 유례없는 고강도 안정대책을 추진한다. 예컨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중앙재난대책본부 성격인 비상경제회의 두 번째 회의에서 채권시장과 주식시장 안정을 위한 강력한 대책이 논의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2일 "유례없는, 전방위적인 고강도 대책이 검토되고 있다"며 "코로나 위기국면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선제적으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나서는 방안이 이번주(비상경제회의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600억달러 규모의 한미통화 스와프가 체결된 직후인 지난 20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정부는 외환시장 안정화에 이어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도 강력한 대책을 세워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SNS에 올린 메시지를 보면 한미 통화스와프를 통한 외환시장 안정에 이어 채권·주식시장 안정에 대한 강력한 대책을 낸다고 했다"며 "그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주 열리는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는 주로 채권시장 안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주 최대 27조원 규모의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채권시장안정펀드 10조원을 비롯해 채권담보부증권 프로그램 6조7000억원, 증권시장안정펀드 10조원 등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주요 금융지주, 증시·채권안정 펀드에 2조씩 출자 검토
정부 방침과 맞물려 주요 금융지주들도 시장안정화 조치에 팔을 걷어부치는 분위기다. 주요 금융지주회사들은 2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증시안정펀드·채권안정펀드에 각 2조원씩 자금을 출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KB금융, 신한지주, 우리금융, 하나금융, NH농협금융지주 등과 전업 증권사들은 증시안정펀드·채권안정펀드 출자와 관련해 재무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세부적인 운영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증시안정펀드와 채권안정펀드를 각 10조원씩 총 20조원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청와대와 금융계에 따르면 증시안정펀드의 경우 증시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 운용하고 개별 종목 주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시장 대표종목이나 지수상품에 투자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1990년 5월 주가 부양을 위해 4조원 규모로 조성한 '증시안정기금'과 비슷한 구조다. 당시 증시안정기금은 상장기업의 출연으로 4조원의 자금을 단계적으로 조성했으며 1995년 6월 주식매입을 재개했다.
1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채권안정펀드는 증시안정펀드보다 다소 빠르게 가동될 것으로 전해졌다. 주로 대형중공업을 중심으로 채권을 매입한다.금융권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 공동으로 채권시장안정펀드를 가동한 바 있다.
당시 채권안정펀드는 시장에 5조원을 지원했다. 은행과 보험을 비롯한 91개 금융기관이 출자했고, 한국은행이 각 금융기관 출자금액의 50%까지 환매조건부채권(RP)를 매입하는 방식 등으로 유동성을 지원했다.
지난 2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8개 주요 은행장들이 간담회를 갖는 자리에서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이미 약정이 돼 있기 때문에 작동까지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가:채권안정펀드 10조원 중 일부는 정치권에서,언론에서 과학계에서 탈원전 정책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는 두산중공업의 채권 을 매입하는 것으로 봐야한다.
청와대 여당에서 총선때문에 더이상 탈원전 문제가 안나오도록 아예 두산중공업의 유동성문제를 잠재우기 위한 것이다. 2008년엔 주로 현대차,기아차가 주 타켓이었다.
0
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