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의 확산이 장기화 될 경우 물류가 멈추고, 인적 교류가 중단되는 최악의 사태 가능성이 있음 이는 시스템 리스크 확산으로 이어지며, 공급망 훼손과 수요 둔화를 더욱 확산시킬 것
◎ 그러나 중국과 한국의 사례처럼, 미국과 유럽 또한 1~2개월의 확산 기간을 거친 후 안정을 찾을 전망 이를 감안하면, 코로나19 확진자수 증가는 4월 이후 둔화 될 것으로 판단
최악 벗어나는 시나리오
1.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내 온라인 교육 및 재택 근무 증가 2. 당초 2Q20말로 기대됐던 중국 클라우드 업체들의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발생 3. 중국·미국 클라우드 업체들의 경쟁적 재고 축적으로 인해, 상반기 DRAM의 공급 부족률 예상 대비 심화 4. 서버 DRAM 가격: 2Q20~3Q20 장기 계약 일부 진행, 안정적이지만 하반기 가격의 추가 업사이드는 제한 5. 1Q20 DRAM의 공급 업체 재고는 중국 내 스마트폰과 PC의 생산 차질로 인해 상승 예상 6. 2Q20 중국 서플라이 체인의 정상화, 2H20 업체들의 공급 조절 노력이 DRAM의 재고 감소 이끌 전망
SK하이닉스 앞으로 예측되는 주가흐름이라고 합니다 여의도에서 받은 자료라고 하네요 여기에 못올려서 ㅋr톡으로 올립니다 HUN674 (위에 ㅋr톡 아이디 친추후에 SK하이닉스 자료 요청 하세요)
◎ 2Q20 DRAM 가격 상승의 가시성 매우 높음. 하반기 역시 가격 하락 보다는 상승 폭 둔화로 이해 ◎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제시, 수요 불확실성 해소 시 중·소형주로의 확산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