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실적 개선과 이익 안정화 단계 진입을 통한 목표가[6]
추천 7 | 조회 1186 | 번호 8485527 | 2016.04.14 17:06 연구소장 (kama***)
<div style="font-family: 굴림, gulim, tahoma, sans-serif; font-size: 12px; line-height: 19.2px; color: rgb(71, 71, 71); font-style: normal; font-variant: normal; font-weight: normal; letter-spacing: normal; orphans: auto; text-align: left; text-indent: 0px; text-transform: none; white-space: normal; widows: 1; word-spacing: 0px; -webkit-text-stroke-width: 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완벽한 실적 안정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는 1분기 영업이익 전망이 357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충족은 물론 매분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유사한 수준의 실적 전망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완벽한 실적 안정화 단계에</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돌입했다는 진단이 가능한데, 이런 평가는 무선부문 약진과 유선부문에서</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사업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특히</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SK텔레콤은 그룹 지배구조 추가개편과 CJ헬로비젼 인수건으로 몸을 사리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태라서 무선부문 점유율 방어에 나서지 않고 있고, LG유플러스는 성장성</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둔화로 예전과 같은 파워를 내지 못해 KT가 무선부문에서 약진하고 있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것이다. 실제 KT의 가입자당 매출 감소폭은 0.2%에 그쳐 경쟁사 대비 가장</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양호한 수준에 성과를 냈으며, 기가인터넷 보급 확대가 UHD TV 보급으로</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이어져 관련 서비스를 하는 컨텐츠에서 주도권을 잡아 안정된 실적으로&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이어질 것이니, KT의 실적 안정화는 완성된 상태로 볼 수 있다. 거기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구조조정 효과와 IPTV 흑자전환 등으로 매분기 3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기대할 수 있으니, KT의 주가 역시 실적 안정화에 따른 재평가를 진행되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기가인터넷 가입자 확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 기가인터넷은 KT 전체 인터넷 가입자 840만명의 14%를 차지, 100만명을</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돌파하였고, 올해는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200만명 돌파를 기대할 수 있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황이다. 이렇게 가입자가 늘어나면 가입자당 평균 매출이 늘어나는 반면,</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의 원가구조는 기가인터넷과 기존 인터넷의 차이가 거의 없어 실적증가로</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이어질 수 있으며, 더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사용하면 UHD TV용 컨텐츠 등</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용량이 큰 서비스 제공도 쉬워져 부가적인 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그래서 KT는 초고속 인터넷 시장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은데다가 꾸준히</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기가인터넷 가입자가 늘어나게 되면 유선부문 이익증가로 이어지고, VOD 등</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부가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수익을 더 창출하고 성장기반을 다지게 되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것이니, KT의 주가상승은 무선과 유선 실적이 동시다발적 개선을 이루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승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KT의 실적은 배당확대로 이어져 주당</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배당가치를 높이게 되고, 이것은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니,</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기가인터넷 가입자 확대가 실적개선으로 이어져, 다시 실적 개선이 주가를</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견인하는 구조로 주가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외국인 지분율 49%</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는 국가기간산업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보유가 50%로 제한되는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현재 외국인 지분율은 49%까지 높아져 외국인이 사고 싶어도 살 수 없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종목이 되고 있다. 올해 KT의 영업이익은 1조 4000억원에 달할 것이고,</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배당성향을 회복한다면 주당 2000원의 배당이 가능해지는데, 현재 주가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배당가치를 고려할때 매우 저렴한 것이다. 특히 금리인하를 단행하게 될</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경우 배당주들의 가파른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KT의 시가배당률은 현재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대비 6.6%를 상회해 고수익이 가능하므로,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없어서</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못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국민연금도 배당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 매수에 나서는 것으로 추정되니, 외국인 지분율을 모두 채우고 연기금</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지분도 10%를 넘어서게 되면 KT 주식은 품귀 현상을 빚게 될 가능성이 매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높아지는데, 현재 KT가 보유한 자사주 규모도 적지 않은데다가 실적 개선이</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뒷받침되면 추가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부양에 나설 가능성이 커, 외국인&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지분율 상승 및 한도 채우기는 KT 주가 상승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신호라는&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금리인하 가능성 증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선진국 증시는 기준금리가 1.5% 아래로 가는 과정에서 배당주의 기하급수적</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주가상승이 나왔다. 현재 코스피에서 고배당을 하는 기업은 많지만, 통신주</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등 안정적인 이익을 바탕으로 고배당을 하는 종목은 제한적이기 때문에&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금리인하 단행시 배당주로 부각될 종목은 KT 등 통신주와 한국전력, KT&amp;G&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등 대부분 안정적 이익을 바탕에 둔 배당주들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그래서 KT는 금리인하 수혜주로 분류될 수 있고, 6.6%가 넘는 시가배당률이</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1% 기준금리 시대에 얼마나 매력이 될지는 명약관화한 부분이니, 금리인하</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가능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선반영에 따른 주가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것이다. 그리고 금리인하가 실제 단행되면 고배당주 중에서도 안정적인</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배당이 가능한 통신주를 중심으로 재평가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은데, 지수&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영향을 덜 받는 방어주인데다가 과거 실적 수준을 회복한 상태에서 주가는&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실적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니, 자연스럽게 시간차를 두고 KT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주가회복을 전개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자산주로 부각과 부동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의 자산가치는 현재 시가총액 두배가 넘는 18조 2200억원에 달한다. 이</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자산의 활용가치를 높여 KT의 기업가치를 높이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중인</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황인데, 5조원에 달하는 매설 구리선 매각이나 남아 도는 지사 건물의</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임대와 보유 토지를 활용한 부동산 개발 사업을 통해 추가 실적을 만들고</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있다. 그렇게 자산활용도를 높이는 부분은 현금 확보와 성장성 부각이라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긍정적 요인을 만들고 있는데, 매년 부동산 사업이 큰 폭의 성장을 이어가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배경에는 통신장비 소형화를 통한 활용가능 부지와 건물공간의 증가. 기업형&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임대주택 리마크 빌 론칭을 통한 임대사업 등 활용가능한 자산의 증가에&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따른 것인데, 올해 4개 지역에서 2231개의 임대주택 운용을 시작하여&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2020년까지 1만세대로 확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부동산 부문 외연은 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커지고, 영업이익도 1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KT의 자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규모는 활용가치를 높여감에 따라 부각될 가능성이 크고, 그로 인해 적절한&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자산가치 대비 평가를 받는 것은 물론 추가적인 실적 개선 요인으로 작용해&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주가상승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KT가 자산주로 부각되고&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부동산 사업에 대한 기대가 주가에 즉각 반영되는 과정이 될 것이니, 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기술적 분석과 목표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br></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KT는 1월 신저가를 기록한 이후 3만원대 주가를 신속히 회복하였다. 추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승 여력이 있으나 31200원을 저항으로 하고 있고, 하단은 여전히 열린</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태라서 불확실한데, 3만원 안착을 위해서는 1분기 실적 발표가 긍정적인</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수준에서 나와야 하니 진입시점으로 지금은 애매한 상태이다. 그래서 3만원</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이하에서 매집하는 접근이 바람직하고, 그렇게 매수한 후 KT가 2010년</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51700원 고점에서 26050원까지 떨어져 거의 반토막이 난 상태에서 주가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상승하기 시작할 것이니, 기대할 수 있는 리스크 대비 수익률은 매우 높다는&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것이다. 그래서 단기 31200원, 중기 36000원, 장기 4만원 정도의 목표가면&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무난할 것인데, 어디까지나 이 목표가는 기술적인 부분인데다가 통신주의&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변동이 크지 않은 현재 환경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니, 금리인하 이후&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배당주 흐름이 달라지거나 KT의 자산가치가 부각되어 이전과 다른 양상이&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나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재료가 나온 상황에서 반영해가며 기준을 수정하는</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전략이 적절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KT는 리스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기대</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수익률이 높고, 이것이 향후 통신환경 변화나 KT의 자체 악재 등 변수가&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크지 않은 상황임을 고려하면 대단한 매력이므로, 확실한 수익의 기회로 볼&nbsp;</p><p style="margin: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수 있는 것이다.</p></div>
7
2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