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클린화의 위력
추천 1 | 조회 344 | 번호 6142453 | 2014.02.14 13:47 sweetbox (snow1***)
<p>1. 4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p><p>- 4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24.7% 증가한 10조 7,177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3.0%</p><p>증가한 5023억원을 기록하였음</p><p>- 캐나다 혼리버 광구 손상차손 3,377억원 인식으로 4분기는 1,272억원의 당기순손실을</p><p>기록</p><p>- 4분기 실적 호조의 주요인은 경비 절감효과로 볼 수 있음. 당초 정부에 제출한</p><p>경비절감 노력으로 매년 600억원 이상의 예산 절감을 꾀하고 있으며 자구 노력이</p><p>반영된 것으로 파악</p><p>- 예산 절감 노력이 2017년까지 지속될 것, 공기업 클린화 효과 지속될 전망</p><p><br></p><p>2. 해외 E&amp;P 사업 순항 중</p><p>- 이라트 쥬바이르 광구 예상 수입은 13년보다 소폭 증가한 1,400억원~1,800억원으로</p><p>전망</p><p>- 당초 예상 2,500억원 대비로는 하향조정 되었는데 이는 ENI사와 이라크 정부와의 협상</p><p>지연으로 쥬바이르 유전 증산이 지연되고 있는 탓</p><p>- 관심을 모으고 있는 모잠비크 광구는 11번째 시추가 완료되었고, 추가로 3공을 시추할</p><p>예정</p><p>- 최근 해외 광구 지분 매각 이슈가 있으나 지분 전량 매각 방식보다는 추가 자금</p><p>소요분에 대해 외부 투자자를 유치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내다보여짐</p><p><br></p><p>3. 원료비 연동제로 미수금 회수 국면</p><p>- 원료비 연동제 시행에 따라 미수금 회수용 단가 48.6원/㎥ 으로 연간으로는 1.2조원</p><p>회수가 가능할 전망, 1월에 약 2천억원 회수</p><p>- 요금규제에 따른 미수금 증가 리스크는 제한적, 미수금 회수에 따른 본업가치 회복</p><p>국면</p>
1
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