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영의 기본가치는 확보해야
추천 5 | 조회 119 | 번호 5511167 | 2013.05.31 14:27 jjj (jinjo***)
<p>주식의 기본가치는 어디에 근거를 가지고 분석하나요.</p><p>&nbsp;</p><p>당연히 재무구조와 구조적 매출실적에 대한 분석이겠지요.</p><p>&nbsp;</p><p>PER은 경기상황, 이자율, 주식시장(지수) 등에 따라 업종별로 평균적 배율이 뒤따르고,</p><p>&nbsp;</p><p>해당기업의 매출성장성에 따라 달리&nbsp;적용하여 주가에 반영되는 것이지요.</p><p>&nbsp;</p><p>아마도 지금의&nbsp;시황으로는 평균 7,8배에서 15배 정도로&nbsp;적용되고 있다고 보이네요.</p><p>&nbsp;</p><p>업종과 종목에 따라서는 저 PER주로 5배 까지도 있고, 기술성이나 높은 성장성, 테마주에 따라서는 </p><p>&nbsp;</p><p>수십, 수백배의 PBR, PER을 기록하고 있는 종목도 있지만, 거기에는 그만한 위험성도 클 수 밖에 없지않나요.</p><p>&nbsp;</p><p>삼영 다시 따져 봅시다.</p><p>&nbsp;</p><p>12개월 예상 PBS는 8155원, PES는 1136원으로 발표되어 있읍니다.</p><p>&nbsp;</p><p>우선 예상실적이 과연 확신할 수 있는 범위인가 하는 것은 지난 수년간의 실적과 1/4분기, 그리고 경기와 업황에 대한</p><p>&nbsp;</p><p>분석과 판단이 필요할 것입니다.</p><p>&nbsp;</p><p>지난 기록에 대하여는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나, &nbsp;현재의 경기동향과 종목 해당분야의 업황에 대하여는 생각해 볼</p><p>&nbsp;</p><p>필요가 있을 것입니다.</p><p>&nbsp;</p><p>이럴때 우리는 기업의 주식담당을 통하여 정보를 얻거나,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지요.</p><p>&nbsp;</p><p>그러한 노력 없이 수급만으로 남(외인, 기관이든 큰손이든)따라&nbsp;대응하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은 법이지요.</p><p>&nbsp;</p><p>개인적으로는 오랜기간 삼영에 투자해 온 탓으로 나름의 정보를 가지고 대응하고 있으나,</p><p>&nbsp;</p><p>최근 나타난&nbsp;정보만으로도 뒷받침될 수 있는 것은,</p><p>&nbsp;</p><p>1. 성장성에 대하여는 신규시설 투자입니다.</p><p>&nbsp;</p><p>&nbsp;&nbsp; 삼영은 아시다시피 매우 보수적인 기업으로 보입니다. 불필요한 뉴스를 내는 법도 없고, 지난 수년간의 꾸준한 </p><p>&nbsp;</p><p>&nbsp;&nbsp; 실적으로 미루어 보면, 지금의 시설증대는&nbsp;현재의 시설로 향후 매출과&nbsp;상품개발에 절대 부족함을 말하는 것으로</p><p>&nbsp;</p><p>&nbsp;&nbsp; 그 성장성은 이미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보이고, 주담의&nbsp;금년부터는 더 달라질 것이라는</p><p>&nbsp;</p><p>&nbsp;&nbsp; 자신있는 멘트에서도&nbsp;장기투자자의 한 사람으로 확신을 얻습니다.</p><p>&nbsp;</p><p>2. 다음으로, 최근의 자사주 블록딜(20만주 @8060원, 해외기관&lt;아마도 근래 창구로 보아 메릴린치&gt;)로도 (주담의 전언으로는</p><p>&nbsp;</p><p>&nbsp;&nbsp; 거래량 증대를 위한 노력의 일환) 비중있는 기관의 분석을 바탕으로한 재료로 일반 투자자들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p><p>&nbsp;</p><p>&nbsp;&nbsp; 생각합니다.&nbsp;</p><p>&nbsp;</p><p>이정도에서 삼영의 기본가치를 평가해 본다면; 적어도 주당 순재산가치인 8100원(그래서 저는 앞글에서도 8100원을 저점으로</p><p>&nbsp;</p><p>할 것이라 의견제시하였고)은 어떠한 장세(지수와 상관없이)에서도 기본이라 판단하고,</p><p>&nbsp;</p><p>삼영의 성장성을 인정한 PER은; 7배가 아니라 최소한 8배 내지 10배(12,000원)까지는 되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p><p>&nbsp;</p><p>따라서, 저의 의견으로 10,000원대의 업그레이드를 주장한 것입니다.</p><p>&nbsp;</p><p>금일의 코스닥하락은 주로 과대평가주(바이오와 일부 IT)에 대한 외인과 기관의 차익실현 내지 비중축소로 보입니다만,</p><p>&nbsp;</p><p>삼영의 일부 투자자의 매도세(대부분 수익 상태일 것이므로 차익실현)는 단기적으로 고점에서 밀리는 기간에 순응하지</p><p>&nbsp;</p><p>못하는 님들의 지수하락에 덩달은 매도심리가 아닐까 저로서는 안타깝게&nbsp;생각해 봅니다.</p><p>&nbsp;</p><p>(혹시 기관의 매도라면 저가의 기회로 자금능력대로&nbsp;받아 주면 되겠고...)</p><p>&nbsp;</p><p>잠시 시황을 보니 의외의 하락이라 생각되어 제목과 같은 뜻으로 의견을&nbsp;나누어 보고자 하여 이글을 올립니다.</p><p>&nbsp;</p><p>성투들 하십시오.</p><p>&nbsp;</p><p>&nbsp;</p><p>&nbsp;</p><p>&nbsp;</p>
5
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