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매출 61% 상승...
추천 10 | 조회 228 | 번호 13381258 | 2022.11.09 16:13 무심천맨 (minn***)
셀트리온, 3분기 영업익 2138억…"항암제 미·EU 점유율 상승"
전년대비 매출 60.6%, 영업이익 28.1% 증가…영업이익률 33.1% 달성

자가면역질환제 램시마, 미국서 31.7% 점유율 기록 '가파른 성장세'… 유럽서 안정적 점유율 유지
램시마 SC IV → SC 전환 가속화 유럽 5개국 점유율 10.7%… 유플라이마까지 유럽 안착



[FETV=박제성 기자] 셀트리온은 올해 3분기(7~9월) 연결기준 매출액 6456억원, 영업이익 2138억원, 영업이익률 33.1%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60.6%, 영업이익은 28.1% 각각 증가했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의약품) 사업에서 글로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램시마(자가면역질환제)의 공급 증가가 매출 확대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더불어 일본 다케다제약으로부터 자산권을 인수한 제품 중심으로 매출도 증대하면서 바이오의약품과 케미컬의약품 모두 고른 성장을 보였다.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인 램시마(자가면역질환제), 트룩시마(혈액암 항암제), 허쥬마(유방암 항암제)는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및 항암제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아이큐비아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2분기(4~6월) 유럽에서 램시마가 53.6%, 트룩시마 23.6%, 허쥬마가 12.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심포니헬스에 따르면 화이자(Pfizer)를 통해 미국에서 판매중인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는 올해 3분기 기준 31.7%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0.5% 상승했다. 테바(Teva)를 통해 판매중인 트룩시마도 전년 동기 대비 3.8% 상승한 27.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램시마SC는 정맥주사(IV) 제형에서 피하주사(SC) 제형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독일에서 27%, 프랑스 16%의 점유율을 달성하는 등 유럽 주요 5개 국가(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등) 인플릭시맙 시장에서 점유율 10.7%를 기록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SC가 유럽내 성장세를 등에 업고 미국에 출시될 때, 유럽과 마찬가지로 IV제형인 램시마와 SC 제형인 램시마SC가 함께 성장 시너지를 보여줄 것으로 보고 있다.




램시마SC는 유럽과 달리 미국에서는 신약으로 출시 예정이어서 특허권 보장을 통해 더 큰 시장 침투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 램시마SC의 점유율 확대 가속화에 그치지 않고, 세계 최초의 휴미라 고농도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도 유럽시장에 안착시켜 IBD(염증성 장질환) 적응증 시장에서의 선도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질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항체약물접합체(ADC)와 이중항체 등의 분야에서 지분 투자, 기술 도입, 공동 개발 등을 진행해 신약 개발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영국 ADC 개발사 ‘익수다 테라퓨틱스’에 지분을 투자한데 이어 국내 바이오테크 ‘피노바이오’와 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 기술실시 옵션 도입 계약을 체결해 ADC 항암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 10월 셀트리온은 최대 15개의 타깃에 피노바이오의 링커-페이로드 플랫폼(ADC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이로써 지분투자 및 공동연구 계약도 체결해 장기적 파트너십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9월 미국 바이오테크 ‘에이비프로’와 HER2 양성 유방암 타깃의 이중항체 치료제 ABP102에 대한 공동개발 계약도 체결하며 항암제 포트폴리오 강화에 힘쓰고 있다.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와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에서 6개 제품 개발을 완료해 5개의 후속 바이오시밀러의 임상 3상을 진행하며 포트폴리오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8월부터 유럽, 영국, 일본, 미국, 국내 등의 규제기관으로부터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의 판매허가를 순차적으로 획득했다. 베그젤마(전이성 직결암, 비소세포폐암)의 해외판매를 담당하는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최근 베그젤마를 영국과 독일에 출시했다.



이 외에도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CT-P47,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2,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39,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1 등 5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현재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중에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3분기에는 바이오의약품과 케미컬의약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후속 바이오시밀러의 임상 및 개발도 차질없이 진행하고, 다양한 국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신약개발과 신성장동력 확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10
1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