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대인플레이션 : 연준이 진정 두려워하는 인플레이션?[2]
추천 1 | 조회 64 | 번호 13361323 | 2022.09.14 02:09 Quantum jump (681122***)
@@@ 기대인플레이션 : 연준이 진정 두려워하는 인플레이션?

장미님~~~.....삼청님~~~.....에헴~~~^^

연준이 진정 두려워하는 인플레이션은 기대인플레이션이다.

기대인플레이션이란?
과거 연준의 완화적 금융정책에 대해 경험(학습)을 통해 형성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말한다.
즉.....과거 경험(학습)해 보니.....연준이 완화적 금융정책을 시행하면
단기적으로는 경기회복에 도움이 되더라.....그러나.....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더라
하는 경험 또는 학습.....이를 학습효과라 한다.....즉
완화적 금융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말한다.

이때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인플레이션’과 ‘기대심리에 의한 인플레이션’을 구분해야 한다.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인플레이션은’은 연준의 완화적 금융정책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말하고
‘기대심리에 의한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완화적 금융정책에 따른 기대심리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외부충격에 의한 인플레이션은?
긴축적 금융정책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닐뿐 아니라.....연준이 해결할 수도 없다.....반대로
기대심리에 의한 인플레이션은?
긴축적 금융정책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며.....연준이 해결하고 책임져야 하는 인플레이션 이다.....예로

예로.....자동차용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생산차질과 이로인한 중고차시장과 렌터카시장의 가격상승
예로.....코로나 19의 두려움으로 인한 트럭운전사들의 운행기피에 따른 임금상승과 물류비용증가
예로.....코로나 19의 두려움으로 인한 육가공업체 노동자들의 조업기피에 따른 임금상승과 고기값상승
예로.....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석유, 천연가스, 밀, 식량 등등등의 가격상승
예로.....요소수 부족에 따른 문류대란

이런 것들은 연준의 기축적 금융정책과 무관한 것들이며, 연준이 통제/관리할 수도 없는 물가상승이다.
즉, 외부충격에 의한 인플레이션 이다.

기대심리에 의한 인플레이션은?
그 이후에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이다.....즉
2020년 상반기 코로나 19가 발생하자 대규모 양적완화 16조 달러 + 재난지원금을 시행하자
학습효과에 의해 각 경제주체들은 다음과 같은 기대심리를 갖는다.
완화적 금융정책을 시행했으니.....곧 경기의 충격은 방어할 것이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상당한 물가상승의 압력이 있을 것이다.....하는 그런 생각(기대심리)
즉, 양적완화 16조에 대해 (학습효과로 인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발생한다.....그러다가

일정한 사건.....즉.....앞에서와 같은 ‘외부충격에 의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각 경제주체들은?.....“나도 가격을 올려야 하는 것 아니냐?”.....“우리도 올려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하게 된다.....기대인플레이션
오늘밤 발표한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의외로 상승한 이유가 그것이다.....기대인플레이션
유가, 식품가격 등등등이 우-러전쟁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가 높게 나온 것은 이러한 기대인플레이션 때문

이러한 기대인플레이션은?.....연준의 완화적 금융정책에 따른 학습효과로 발생하므로
연준의 긴축적 금융정책으로 관리/통제가 가능한 것이다.....즉
반대로.....이자율을 올리고 긴축적 통화량 조절을 하면.....이제 각 경제주체들은 반대의 상황을 기대한다.
즉.....긴축정책이 시행되니.....인플레이션은 진정되고.....그러나.....경기침체?

그럼 기대인플레이션이 왜 무서운가?.....이거 비싼 지식이니깐요.....계좌로 500원씩 쏘셔요.
각 경제주체들은 가격을 올리고 싶다고 올릴 수 있나?.....이것도 비싼 지식.....1,000원
긴축정책을 시행하면 경기침체가 오나?.....요거는 진짜 비싸.....2,000원
내일 셀처바가 처박껬 씁니~~~껴?.....요건 싸다. 싸.....빵원.....“응~~, 처바가.”
1
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