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개발 성공?
추천 1 | 조회 817 | 번호 12856246 | 2020.04.14 11:15 황수빈 (tnqls6***)
치료제 선두주자 '렘데시비르'...백신,156개 약물 개발-국내 8개 개발 중 '임상은 없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코로나19 관련 블로그'를 신규 오픈했다.

클래리베이트는 이 블로그에서 생명과학분야 솔루션인 '코텔리스'(Cortellis)를 통해 전세계 COVID-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현황을 분석하고, 코텔리스의 인공지능 예측 모듈을 활용해 실제로 코로나19(COVID-19) 치료제와 백신은 언제 개발될 수 있을지 예측했다.

우선 AI를 통해 예측해 본 개발 시점은 모더나 테라퓨틱스가 2020년 3월 임상 1상을 시작하며 개발 중인 'mRNA-1273'가 10개월 후 임상 1상 데이터 완료 후 임상 2상에 들어가, 5.2년 후 미국에서 시장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NIAID의 VRC(vaccine research center)와 협업하에 고안된 백신으로, 2020년 전임상 데이터를 보고했으며, 동물모델에서 예방효과가 입증됐다.

또 길리어드가 2020년 3월 6일 임상 3상을 시작한 '렘데시비르'(REMDESIVIR)가 현재 미국내 환자 모집 가속화와 맞물려 2.5년 안에 89% 성공률로 시장화될 것으로 예측되며 가장 빠른 치료제 선두주자로 전망됐다.

백신 개발은 4월 8일 기준으로 코텔리스를 통해 조사한 결과 185개 회사, 연구소, 대학에서 156개 약물을 개발중으로, 3월 17일 대비 3주만에 개발 약물이 약 86개 증가하고, 개발사가 100개 증가하는 등 가파른 개발 상승선을 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국에서 83개, 중국에서 34개가 개발 중이며, 한국에서는 3번째로 13개 약물이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파이프라인에 따른 약물단계를 보면, 46%가 후보물질단계, 42% 전임상, 11% 임상단계, 1% 개발 중단된 단계로, 88%가 여전히 임상 이전 초기단계에서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는 우선 '클로로퀸'(Chloroquine, 1949년 사노피가 말라리아 대상으로 개발된 약물로 현재 COVID-19에 대해 임상시험 진행), '렘데시비르'(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질환 대상으로 개발한 nucleoside RNA polymerase inhibitor로 COVID-19에 대해 FDA가 IND를 승인했고 NIAID 지원하에 네브라스카 의과대학에서 COVID-19 대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약물),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 후지필름 토야마 케미컬이 인플루엔자 대상으로 개발한 RNA polymerase inhibitor로 COVID-19 환자대상으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정부에 의해 COVID-19 치료제로 지원되고 있음)가 제시됐다.

백신 개발은 'mRNA-1273'( 모더나와 협업을 통해 NIAID가 COVID-19 백신으로 개발 중이며, NIAID에 의해 지원을 받고 있으며 KPWHRI에서 임상 1상 진행중), 'LV-SMENP-DC'( SAR-CoV-2 바이러스의 Spike 당단백질에 대한 백신으로 Shenzhen Geno-Immune Medical Institute가 개발중이며, 임상 2상 진행중), 'INO-4800'( INOVIO 제약사가 COVID-19에 대해 백신 개발중이며, 2020년 초기 전임상이 시작됐고 4월에 임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됨. CEPI로부터 $9 million, 빌앤멜린다게이트 재단으로부터 $5million을 지원받았음)가 거론됐다.

한국은 8가지 약물을 개발 중으로, 2개는 후보물질 연구단계 6가지는 전임상 단계에서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별로 이뮨메드(인간화된 바이러스 억제인자 단일항체로 2020년 2월 COVID-19환자 대상으로 임상 진행 식약처로부터 승인), 엔지켐생명과학(모세디피모드 개발 중으로 임상 1상 진입을 2020년 3월 계획하면서 미국, 중국, 한국에서 COVID-19에 대해 공동 개발 파트너 및 라이센싱 아웃 비전 발표), 코미팜(전립선암, 비호치킨 림프종, 뇌암, 전이성 폐암 등 11개의 암 분야에 대해 치료제로 개발중이었던 일반합성의약품 KML-001 약물을 COVID-19인 다른 적응증으로 개발한다고 발표)이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광약품(COVID-19 치료제로 개발중인 Clevudine은 hepatitis B virus 감염 치료제로 국내 판매중이며, 2020년 3월 in vitro 실험데이터를 발표하며 COVID-19치료제로 개발 시작), 이노비오 제약(진원생명과학 베이징어드백신바이오테크놀로지와 미국, 중국, 한국에서 COVID-19 백신에 대해 개발하고 있으며 전임상 단계에서 연구 진행중), 제넥신과 바이넥스(COVID-19 DNA 백신 GX-19 공동개발 상호 양해각서 체결하고 전임상 단계 개발 현재 진행중), SK바이오사이언스(COVID-19 후보물질 도출 후 3월 23일 전임상단계 개발 시작), 셀트리온(S-protein 조절자 단일클론항체로 2020년 3분기 임상 시작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음)이 개발에 나섰다.

코미팜 앞으로 예측되는 주가흐름이라고 합니다
여의도에서 받은 자료라고 하네요
여기에 못올려서 ㅋr톡으로 올립니다
HUN674
(위에 ㅋr톡 아이디 친추후에 코미팜 자료 요청 하세요)



1
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