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펀드 완전정복]8천개 펀드 가운데 잘 고르는 5가지 방법
추천 0 | 조회 17305 | 번호 935 | 2007.10.18 09:48 금융플라자 (finance1.***)
8천개 펀드 가운데 잘 고르는 5가지 방법
글쓴이 : 송영욱 (새빛인베스트먼트 자산운용 이사)

우리나라에 설정된 펀드는 8000여 개 정도다. 이 모든 펀드를 다 확인하고 고를 수는 없다. 그래서 펀드를 선택할 때는 일단 펀드의 유형을 먼저 정하고, 그 유형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펀드를 선택해야 한다.

① 자신의 위험감수수준에 적합한 펀드 유형을 결정하라.

어느 정도의 손실을 부담할 수 있느냐에 따라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혼합형 펀드를 선택할 수 있다. 손실위험이 있더라도 높은 수익을 기대한다면 주식형 펀드를 선택하고, 수익보다도 손실이 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면 채권형 펀드를 선택하라. 그리고 그 중간정도에 해당한다면 혼합형 펀드를 선택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젊은 사람일수록, 장기투자자일수록 주식비중이 높은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겠다.

②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펀드를 선택하라.

펀드 유형을 결정했다고 모두 끝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식형 펀드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하자. 주식형펀드에도 성장주에 투자되는 성장주 펀드, 가치주에 투자되는 가치주 펀드, 배당주에 투자되는 배당주 펀드 등 여러 가지 형태의 펀드가 있다. 가능하면 자신의 스타일과 맞는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만약 자신의 스타일을 잘 모르겠다고 하면 다양한 성격의 펀드에 똑같이 나누어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③ 단기수익률보다 중장기수익률을 확인하라.

펀드평가사의 사이트에 들어가면 최근 수익률 1위인 펀드를 금방 찾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수익률 1위인 펀드가 가장 좋은 펀드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최근 수익률이 좋지 않다고 하여 무조건 나쁜 펀드라고도 할 수 없다. 펀드는 투자종목과 투자시점에 따라 각각 수익률이 다를 수밖에 없다. 1주 수익률, 1개월 수익률이 좋다고 좋은 펀드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년 수익률, 3년 수익률이 모두 좋은 펀드를 선택해야 한다.

④ 자산규모가 큰 펀드를 선택하라.

펀드의 자산이 크면 유망종목에 더 많이 분산투자할 수 있고 위험을 관리하기에도 유리하다. 따라서 규모가 최소 500억 원이 넘는 펀드에 투자하는 게 좋다. 하지만 펀드규모가 큰 것이 유리하다고 하여 지나치게 규모가 큰 것만을 선택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펀드규모가 지나치게 크면 오히려 수익률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역으로 펀드규모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펀드 역시 조심해야 한다. 혹시 펀드규모가 줄어들고 있지는 않은지 해당직원에게 반드시 물어보고 가입하기 바란다.

⑤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전문가와 상의하라.

일반적으로 개인투자자는 전문가에 비해 투자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다. 그래서 펀드를 선택하고서도 그것이 잘 선택한 것인지 잘못 선택한 것인지를 잘 모른다. 그래서 펀드는 전문가와 상담한 후에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와 상담하면 펀드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펀드의 사후관리에 대해서도 조언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송영욱 ‘샐러리맨 부자 만들기’의 저자 www.assetclass.co.kr]


[펀드 완전정복] '2700% 대박 펀드' 절반이 손해본 이유
[재테크아이큐] 샐러리맨이여, 투자마인드를 길러라
[재테크아이큐] '72법칙'으로 수익률 따져보자
[재테크아이큐] 샐러리맨 부자가 될 수 없다? NO!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