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펀드 완전정복]적립식 펀드의 함정, '역코스트 에버리지 효과'[11]
추천 1 | 조회 10319 | 번호 925 | 2007.10.16 17:29 금융플라자 (finance1.***)
적립식 펀드의 함정, '역코스트 에버리지 효과'
글쓴이 : 최성우 (포도에셋 개인재무상담사)



2007년,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주가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자 이제는 '펀드= 고수익'이라는 공식이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이 모습은 흡사 90년대 말 우리나라 전 지역에 인터넷 광풍이 불어 닥쳤듯, 이제는 적립식 펀드가 집집마다 한 구좌씩 깔리며 '간접투자 시대'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항상 모든 사회적 이슈는 그냥 만들어 진 것이 아니 듯, 간접투자의 시대도 마찬가지다. 국가차원에서, 그리고 전 금융권 차원에서 간접투자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으며 이는 주가 상승기와 맞물리며 '수익성'까지 검증됨에 따라 '적립식 펀드'의 대중화에 물꼬를 트게 된 것이다.

이러한 장기투자, 간접투자의 문화 정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금융 이론이 있으니 이른바 '코스트 에버리지(Cost Average)효과'라고 불리는 이론이었다. 주식 가격이 떨어지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식은 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맞으나 이는 반대로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결국 주가가 원상태가 되더라도 이득이 날 수 있다는 이론인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매월 투자 금액이 10만원이었던 투자자가 3개월 동안 투자한 예시이다. 결국 이 투자자는 현재 만원짜리 주식 40주를 가지고 있게 된 것이므로 주가는 그대로 이나 결국 30만원 투자로 40만원을 만든 셈이다. 즉, 이것이 바로 적립식 펀드 전파에 날개를 달아 준 코스트 에버리지 이론이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결국 이 투자자는 현재 만원 짜리 주식 25주를 가지고 있게 된 것이므로 주가는 그대로 이나 결국 30만원 투자가 25만원이 되어 손해를 본 것이다.

똑같이 우여곡절 끝에 주가가 원상복구 되더라도 첫 번째 그림은 주가가 떨어졌다가 나중에 올라가게 되면 중간에 싸게 산 주식 덕분에 전체적으로는 이득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두 번째 그림처럼 주가가 먼저 올라갔다가 나중에 떨어지면 중간에 비싸게 산 주식은 가격이 하락해 손실을 보게 된다. 결국 적립식 펀드가 모든 위험을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코스트 에버리지 효과는 주가가 동일하게 되었을 경우 무조건 이득을 보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싸게 산 주식이 더 많은지 아니면 비싸게 산 더 주식이 많은 지 여부가 전체 득실을 결정짓게 되는 것이다.

지금 투자를 시작한다면 적립식 펀드가 정답이기는 하다. 하지만 금융이 최고로 발달한 미국에서도 수익을 쫓아다닌 사람보다 위험자산과 안정자산을 섞어서 꾸준히 자산배분을 한 사람이 결국 90% 이상 더 부자가 되었다는 것은 이미 증명이 된 사실이다. 요즘처럼 잠재 위험이 많은 시기일수록, 자기 자산에 빈틈은 없는지 꼼꼼히 체크하는 지혜가 필요하겠다.

[최성우 포도에셋 재무컨설턴트]


[재테크아이큐] 장점만큼 단점많은 CMA
[재테크아이큐] 대출 함부로 갈아타지 마라
[재테크아이큐] 할부구매 인생을 잠식한다
[재테크아이큐] '펀드 갈아타기' 종용하는 금융사, 거래말라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1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