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재테크 아이큐]왜 장기-분산투자할까?[11]
추천 1 | 조회 24511 | 번호 887 | 2007.10.11 11:39 금융플라자 (finance1.***)
왜 장기-분산투자할까?
글쓴이 : 아이엠리치팀 (파이미디어)

흔히들 부자가 되는 방법은 3가지라고 합니다.

첫째, 부자 부모를 만나는 것. 아쉽게도 이는 내가 선택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둘째, 부자 배우자를 만나는 것. 선택은 할 수 있지만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죠. 마지막은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투자는 내가 선택할 수 있을 뿐더러 누구나 실천만 하면 가능한 방법입니다.

"투자만 하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이 단순한 진리를 깨닫는 순간, 우리는 인생의 여정에 있어서 꼭 필요한 돈이라는 문제에서 해방 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초보부터 고수까지 눈높이 증권'에선매주 화요일 최근 보편적인 투자 상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펀드의 효과적 투자방법을 쉽고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요. 그 첫번째 시간에는 성공투자의 기본 원칙인 장기투자와 분산투자를 다뤄 눈길을 끌었습니다.

장기투자의 이유

첫째, 투자의 안정성 측면입니다.

투자의 안정성 측면에서 보면 주식 혹은 주식형 펀드와 같이 변동성이 큰 자산(즉, 위험이 큰 자산)에 투자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큰 위험에 노출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위험이 감소하는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표 참조)

이때 장기투자란 사람마다 관점의 차이가 있겠지만 10년 이상 투자를 의미하며 3년~10년을 중기투자, 3년 미만을 단기투자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둘째, 복리효과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투자자들은복리에 대해 너무 자주 접하는 바람에 식상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왜 유독 복리라는 단어 뒤에 '마술'을 합쳐서 '복리의 마술'이라 부르고, 인류 역사상 최고의 천재라 불리는 아인슈타인조차 '복리'를 세계 8번째 불가사의이며 가장 위대한 수학의 발견이라 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복리로 투자할 때 원금이 2배로 커지는 기간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이 바로 '72법칙' 입니다. 예를 들어 매년 7.2%의 수익률로 복리로 투자했을 때 원금 100만원이 2배인 200만원이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72÷7.2=10' 결국 10년이 걸린다는 의미입니다.

이자에 이자가 더해지는 복리의 마법은 사실 과거 금리가 높았던 시절에는 엄청난 부를 축적할 수 있었지만, 지금처럼 저금리 시대에는 일반적인 저축 상품으로 복리 효과를 누리기는 사실상 어려움이 따릅니다. 그래서 저축이 아닌 투자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있는 것이죠.

분산투자의 이유

분산투자를 설명할 때 흔히 듣게 되는 격언이 바로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말라" 입니다. 이 말은 탈무드에 기록된 것으로 수천년 전부터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분산투자 방법으론 부동산과 저축 그리고 투자에 자신의 재산을 3분해서 넣는 것이죠. 이렇게 큰 덩어리로 분산투자한 뒤, 그 덩어리 안에서도 또 분산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금융자산의 분산투자는 소위, 투자효율곡선을 살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권만 100% 투자하는 것보다 채권과 주식을 일정 비율 분산하게 되면 위험은 감소하면서 수익률은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채권과 주식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이죠. 상관관계가 다른 두 자산을 섞어서 투자하면 각기 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표=한국경제tv 제공)

[아이엠리치팀]


[펀드완전정복] 펀드,'묻지마' 아닌 '투자설명서' 이해 우선
[재테크정보보고] 부자, 재테크 관심사는 '절세'
[재테크정보보고] 코스피2000재진입 펀드환매 유혹 '솔솔'
[재테크정보보고] 해외펀드 가입시 확인해야할 6가지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1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