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재테크 아이큐]'금리'와 '수익률'은 '하늘과 땅' 차이[1]
추천 1 | 조회 13969 | 번호 836 | 2007.10.11 10:45 금융플라자 (finance1.***)
'금리'와 '수익률'은 '하늘과 땅' 차이
글쓴이 : 최성우 (포도에셋 개인재무상담사)



원금 100만원에 대해 10%의 '수익률'이 낫다면 10만원을 받게 될 것이고, 5%의 '수익률'이 낫다면 5만원을 받게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수익률'이라는 단어를 '금리'로 바꾸면 얘기는 틀려진다. 다음을 보자.

즉, 매월 100만원을 5% 금리 은행 적금에 성실히 납입한 당신의 손에 1년 뒤 남은 돈을 수익률로 환산했더니 고작 2.71%였다.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은행이 말하는 '금리'의 기준은 불입한 돈이 1년 동안 묶일 때에만 주는 '수익률'이다. 일례로 증권사 등에서 CMA를 홍보할 때 '하루만 맡겨도 4%'의 의미는 하루에 4%를 준다는 뜻이 아니라 1년으로 환산했을 때의 얘기이다.

따라서 세금마저 떼고 나면 실제 CMA의 하루치 수익률은 0.01% 수준으로 계산이 된다. 마찬가지로 결국 위 표에서 보면 전년도 12월에 넣은 100만원은 1년 동안 묶인 돈 이므로 5%를 고스란히 받을 수 있었지만 마지막 11월에 넣은 100만원은 '5%/12월'인 약 0.42%만을 받을 수 있었다.

결국 이런 식으로 10월에 넣은 100만원은 '5% x 2개월/12월'인 약 0.83%, 9월에 넣은 100만원은 약 1.25%... 를 합산해 평균하면 5% 금리 적금의 수익률은 결국 2.71% 로 계산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적금은 인터넷 뱅킹에서 적금 잔고를 확인하더라도 펀드조회 화면에서 볼 수 있는 '수익률'은 명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적금에 가입할 때는 이와 같은 '진실'을 알고 적금에 가입해야 나중에 실망하지 않는다. 결국 '금리' 든 '수익률' 이든 내 손에 남는 금액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다시한번 상기하자. Tip1) 적금금리를 수익률로 환산할 때 대략 (금리 x 0.54) 를 하면 된다. 이것으로 예상되는 만기 수령액의 개략 금액을 환산해 보자. 단, 여기서 금리는 세금을 뺀 나머지를 의미함.

Tip2) 세후 금리 구하는 법

일반과세 일 때 금리 x (1-0.154)
세금우대 일 때 금리 x (1-0.095)

[최성우 포도에셋 재무컨설턴트]


[재테크아이큐] 적립식 펀드의 함정, '역코스트 에버리지 효과'
[재테크아이큐] 적립식 펀드의 함정, '역코스트 에버리지 효과'
[재테크아이큐] 장점만큼 단점많은 CMA
[재테크아이큐] 대출 함부로 갈아타지 마라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1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