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p까지 치솟던 코스피 지수가 출렁이고 있습니다. 덩달아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도 처참하게 무너지고 있네요. 미국발 서브프라임모기지 쓰나미 덕분에 주식-펀드 투자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증시의 널뛰기 장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자산 운용에 대한 비중과 관심이 높아지게 마련입니다. <성공하는 주식투자 원칙>(더난출판. 2007)의 저자는 인덱스 투자 애찬론을 펼치고 있는데요. 특히 “인덱스 펀드로 인생을 즐긴다”며 시장이 매우 효율적이란 특징을 인덱스 투자의 가장 큰 매력으로 손꼽았습니다.
그가 시장이 효율적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가치에 비해 싼 종목과 비싼 종목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결국 전문가들이 필사적으로 분석해도 그런 종목을 찾아내기 힘들기 때문인 것이죠.
시장의 완전한 효율성을 인정한다면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이 리스크와 리턴이란 관점에서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을 찾아내야만 합니다. 그는 “시장을 비슷하게 축소-복사해 놓은 것에 투자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금융상품이 바로 주가지수를 쫓아가도록 운용-설계된 금융상품이 바로 인덱스 펀드입니다.
인덱스 펀드의 장점 중 하나는 바로 ‘저비용’에 있습니다. 인덱스 펀드는 기존의 주가지수를 흉내낼 수 있도록 종목을 매수하므로 여러 산업과 종목을 조사하는 애널리스트를 고용한다든지, 경력이 화려한 펀드매니저를 공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반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판매수수료와 신탁보수도 낮은 편입니다.
또 인덱스 펀드는 기본적으로 주가지수에 반영된 비율대로 종목을 선정해 포트폴리오를 짠 뒤 계속 보유하기 때문에, 액티브 펀드처럼 빈번하게 매매를 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증권 매매에 따른 비용도 낮아지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인덱스 펀드는 매입한 뒤 아무것도 하지 안아도 되므로 자신의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인덱스 펀드 투자에도 커다란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재미가 없는 것이죠. 인덱스의 가치변동은 분산투자 때문에 개별종목에 비해 훨씬 작습니다. 이것 자체가 기대수익을 그래도 유지하면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분산투자의 마술이 됩니다. 하지만 반대로 도박 애호가에게는 답답한 투자로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는 “판매수수료와 신탁보수, 기타 비용이 가능한 낮은 인덱스 펀드를 산 뒤, 투자했다는 사실 자체를 잊은 채 자신의 본업에 충실하면서 열심히 돈 버는게 가장 좋다”고 주장했는데요. 이는 결국 보유 자산이 적은 보통의 샐러리맨에게 가장 큰 금융자산이 바로 자기 자신임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투자는 오락이나 모험이 아니라 여유자금을 불리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에게 인덱스 펀드는 아주 좋은 투자 금융상품인 것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