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재테크정보보고]인기와 우려 '보장자산' 몸에 맞게 설계
추천 0 | 조회 7555 | 번호 668 | 2007.04.20 17:29 금융플라자 (finance1.***)
인기와 우려 공존 '보장자산'..."몸에 맞게 설계"
글쓴이 : 아이엠리치팀 (파이미디어)

최근 보험계 화두는 ‘보장자산’입니다. 대중에게 친숙한 신동엽과 윤도현이 한 보험사 CF에서 “이봐, 보장자산~”을 외친 덕에 2달 사이 신규 가입자수는 200만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하지만 “보장자산의 의미도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채, 그저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습니다.

얼마전 mbnTV ‘경제나침반 180도’에선 '보장자산,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라는 주제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보장자산’을 집중 조명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보장자산’은, 한 가정의 경제적 문제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 얘기치 못한 불의의 사고를 당했을 때 그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일반사망보험금’의 총액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기존의 ‘종신보험’과 비슷한 성격의 보험으로 사망보험의 다른 표현일 뿐이죠.

방송에선 ‘보장보험의 의문점’ 3가지를 제시하며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았습니다.

첫째, 보장자산은 꼭 필요한 상품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보장자산은 반드시 필요한 상품입니다. 비용이라고 생각하면서 보장자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종신보험’과같기 때문에 꼭 보장자산 상품으로 갈아타거나 중복 가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재산의 측정 정도가 아직 미약한 30대 가장의 경우 보장자산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현재 수십억, 수백억을 이미 형성해놓은 경우라면, 굳이 보장자산이란 명목의 상품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그 보다는 지금 자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를 우선하는 것이 현명하겠죠.

둘째, 왜 비싼가?

다다익선의 이치입니다. 많이 받기 위해서는 보험료 납입 금액이 많아야겠죠. 보장자산은 보험의 가장 순 기능인 “사망보험금을 좀 더 높이자”라는 차원이라고 하지만, 그 이면에는 보험사의 마케팅 전략이 숨어있습니다.

보험사도 엄연한 기업입니다. 기업의 목적은 수익 창출에 있습니다. 결국 보험료를 인상시켜서 보험사의 이익을 좀 더 추구하고자 하는 영업적인 측면을 간과하지 말아야겠죠.

셋째, 보험도 유행이다.

최근 ‘보장자산’ 열풍으로 기존의 보험 상품을 해지하고 보장자산 관련 상품으로 갈아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보험사에서 고객을 상대로 새로운 상품 출시를 알리고 전환계약이나 승환계약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며 “본인 스스로가 본인의 보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않으면 결국 손해는 본인 몫이 될 수 있다”고 당부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최근 종신보험은 감소하고, 변액유니버셜 보험이 올라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도 최근 3년간 펀드 성격을 지닌 변액 상품들이 인기를 끌어왔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성장이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보험사들은 리스크 관리의 어려움이 따르게 됐죠. 결국 다시 종신보험 비중을 높이기 위해 ‘보장자산’이란 마케팅 전략을 내세우게 됐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렇듯 보장자산은 인기와 우려가 공존하는 상품입니다.한 전문가는 “보험은 일반적인 상품이 아닌 내 몸에 맞는 상품으로 설계가 되어야 한다"며 “꼭 필요한 상품이지만 비용부담이 크다면 기간을 길게 잡거나, 유지 능력 선에서 금액을 최소한으로 잡고 나중에 여유가 생길 때 증액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습니다.

[아이엠리치팀]


[돈버는테크] 돈관리 습관과 통장 개설도 궁합이 맞아야
[재테크생생토크] 경매, '명도확인서'보다 '명도' 먼저!
[돈버는테크] '빚테크' 빚도 좋은 빚과 나쁜 빚이 있다?
[콕! 절약테크] 부동산을 사고팔 때의 절세법

[보험] 연금보험 제대로 알고 가입하세요.
[대출] 신용이 돈인 사회! 내 신용점수는 얼마?


장기주택마련저축 상품~
내집 마련의 꿈을 위해서~

장기주택마련저축 보기

아웃백을 저렴하고 푸짐하게~
즐길수 있는 방법 아세요?

노하우 보러 가기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