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후대비에 대한 나라별 차이점을 보며… |
|
얼마 전 모 일간지에서 세계의 고민거리인 '노(老)테크 '에 대해서 몇몇 국가별 설문조사의 결과를 발표한 기사를 본적이 있다. 미국,일본,싱가포르의 국민들과 우리나라의 국민들 약 1,600여명에게 물어본 기사의 내용을 잠시 살펴보자면 노후준비를 하고 있느냐라는 질문에 한국사람들은 60.6%가 그렇다고 대답한 반면 미국 81%,싱가포르는 95%의 응답자들이 그렇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물론 일본의 경우에는 우리나라보다 적은 55%가량의 응답자가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래도 10명중에 6명만이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4명은 자신의 노후대비에 대해서 이렇다 할 준비가 없다는 게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었다. 가장 비중이 큰 보유자산을 묻는 질문에는 한국사람들은 역시 부동산이 무려 84%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부동산 35%,직*간접투자상품에 39.7%로 적당히 운용이 되고 있었으며 일본 역시 부동산 35.7%,은행예금에 43.7%,투자상품에 16%로 운용되고 있었다. 싱가포르 역시 부동산 45.8%와 투자상품에 25.7%,기타에 27.5%로 운용되는걸 봐서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얼마나 부동산 쪽에 편중해서 자산의 운용을 진행하고 있는지 알수가 있는 대목이다. 물론 다른 설문들을 더 살펴보면 우리나라와 나머지 3개국의 노후대비와 자산운용에 대해서 1대3으로 다르게 가고 있다는 걸 알 수가 있는데 역시 어릴 때 부터의 내 집 마련과 부동산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정교육과 함께 그래도 집은 남는다 라고 하는 국민적인 의식 때문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정년퇴직을 하고 사망할 때까지의 약 25년에서 30년(점점 이 기간은 길어질 것이다)동안 생활하는데 필요한 생활비가 중산층수준으로 생활한다고 했을 때 4억 7천만원 가량 필요하다는 통계가 있었다. 조금은 인간답게 살아간다면 7억원 이상의 비용이 든다는데 과연 지금처럼 부동산중심의 자산관리와 운용에 치중하다 보면 어떻게 노후를 살아갈지 걱정이 앞선다. 가뜩이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고 총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고령화 사회 [高齡化社會, Aging Society]에서 20%이상인 후기고령사회(post-aged society)혹은 초 고령 사회까지 가는 기간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다는 우리나라의 실정을 감안하자면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돈을 운용하고 관리해야 할지 방향을 다시한번 되짚어 봐야 할 것이다. 집이나 자동차는 대형에서 소형으로 규모를 줄여가는 경우가 거의 힘들다고들 한다. 이용하는 습관이 몸에 베어서 그런 건지 눈높이가 높아져서 그런 건지 여하튼 규모의 축소가 어렵다고들 하는데 향후 우리의 노후를 대비하고 싶다면 이 부분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겠다.무턱대고 넓은 평수로만 집을 구하는 요즘의 경향을 보면 과연 저 사람들이 그 생활수준을 노후에도 유지하면서 이어 갈수 있는 유동자산 즉,현금이나 금융상품 등의 재테크를 함께 실천하고 있는지 되물어보고 싶은 게 사실이다. 노후대책과 관련해 가장 큰 문제점이라는 질문에 '부동산에 대한 과다하게 치우친 자산'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미국 7.7%,일본 5.7%,싱가포르 4.6%인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11%가 그렇다고 대답했다면 운용비율대비 아직도 부동산에 치우쳐서 자산을 운용하는 점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노후대비측면에서의 심각성을 못 느끼는게 안타까울 따름이다.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