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우리아이경제교육]경제교육은 행동으로 나타날 때 까
추천 12 | 조회 2531 | 번호 550 | 2006.11.02 20:34 금융플라자 (financemas***)
경제교육은 행동으로 나타날 때 까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기우제를 하면 반드시 비가 온다는 것이다. 이것은 미 과학자들이 입증을 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수 백년 동안 가뭄이 들어 해갈을 위하여 모든 부족들이 애타게 바라던 비는 어떻게 오게 만든 것일까?

간절한 소망?, 전 부족들의 단결심?, 주술과 믿음에 대한 대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기우제를 하면 반드시 비가 온 것은 바로 그들은 비가 올 때 까지 기우제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 비가 올 때 까지, 끝까지 기우제를 올린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교훈 처럼 경제교육도 방학 때 일시적으로 하는 이벤트성의 경제캠프나 주말을 이용한 경제교실 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교육으로 지식의 습득이나 전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행동으로 나타날 때 까지 해야 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경제교육이 언론사들의 지면을 장식하면서, 경제교육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이 부각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무엇을, 어떻게, 언제 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의를 하고 연구개발해서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시점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경제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시작하여, 학교와 사회 3위 일체가 어우러진 교육이 가장 바람직 하다고 생각한다. 가정에서는 우선 가정의 소득과 지출의 범위와 항목들을 아이들에게 알려주면서 부모님이 땀 흘려 노력해서 번 돈으로 가정을 꾸리고, 아이들에게 제한된 소득 중에서 많은 부분을 아낌없이 투자한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아이들이 돈의 소중함과 가치, 그리고 부모님의 사랑에 관하여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가정에서 부터의 경제교육은 아이들의 무절제한 소비행태와 용돈관리 등을 자연스럽게, 스스로 할 수 있게 만드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얼마 전 고등학교 사회과 선생님과 대화를 나누다가 그 선생님이 가정에서 경제교육을 위하여 어떻게 하는 지 조사를 하기 위하여, 몇 가지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회수를 하였는데, 대부분이 공란으로 왔다는 것이다.

그 중 한 가지는 우리 집의 재산세는 얼마인가? 라는 항목이었는데. 고등학생들이 우리 집의 재산세를 얼마나 내는지 정도는 알고 있겠지 했는데 아는 학생이 전혀 없었고, 집에서도 알려 주지지 않고 당연히 설문지에도 공란으로 제출 했다는 것이다.

아마도 우리 학부모님들은 아이들이 공부만 열심히 하지 재산세나 기타 우리 집의 소득이나 지출에 관하여는 몰라도 되 라는 생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벌써 아빠가 어떻게 돈을 벌어 오는지 궁금해 하는데,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다면, 내가 용돈 달라고 하면 주고, 돈이 없어도 떼 한번 더 쓰면 주는 것 처럼 아빠도 회사에 가서 월급을 그렇게 받아오는 것으로 간주나 추정을 할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가정에서부터 소득과 지출에 관하여 아이들과 함께 대화를 하면서 경제교육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학교에서도 좋은 경제서적을 추천하고 독후감을 쓰고 발표하도록 교육해야 하며, 경제관련 교과내용을 충실히 전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에서는 아름다운 부자, 투명한 경제인, 합리적인 소비자, 현명한 투자자, 노력하는 근로자 등의 위상과 가치를 높이고 이들을 장려하는 모습을 언론과 정부 그리고 각계각층에서 보여주어야 한다. 지금의 연일 사건사고, 부정비리에 치중한 모습에서 성공사례와 아름다운 땀과 노력 -그것이 아직 성공한 것이 아니고 진행 중이더라도 - 꿈과 현실을 위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열정을 다하는 모습들을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기우제는 비가 올 때까지 해야 하는 것이고, 경제교육은 행동으로 나타날 때 까지, 노력하는 근로자, 합리적인 소비자, 현명한 투자자, 투명한 사업가가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때 까지, 더 이상 미루어서는 안 되는 우선과제로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에서 다 함께 이루어 가도록 간절한 소망을 가져봅니다.

12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