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부동산AtoZ]아파트 구입시기 판단 기준[2]
추천 2 | 조회 23759 | 번호 396 | 2006.11.01 15:52 금융플라자 (financemas***)
아파트 구입시기 판단 기준
앞으로 아파트가격이 오를것인가, 지금 아파트를 사야하나, 몇 년 참아야 하는가…일반 서민들은 내집마련을 하는데 있어서 정말 고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매년초 신문 및 각종 언론기관에서 부동산 전문가들이 내어놓는 정책들은 모두들 틀리니 누구 말을 믿어야 할지도 모르겠고… 언론에서 가격이 떨어질것이라고 해서 기다리면 벌써 집값은 저만치 달아나 있어 모아놓은 돈으로는 택도 없고…휴 정말 서민들은 한숨이 저절로 나올만하다.

그렇지만 내집마련을 하기 위한것이든, 투자를 하기 위한것이든 적재적소의 타이밍이 중요하고 그렇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지침을 세워야 하고, 다음의 사항들을 점검하고 알고 있어야 한다. 앞으로의 가격변동이 어떻게 될지 판단을 해보고, 구입시기를 판단해보자.

1. 주택수급 불균형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택지를 매입해 분양한 후 건축하고 입주하는데 평균 2년6개월의 시간이 소요됨

-98년 이전에는 신도시건설로 인해 매년 60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

-98년부터 2000년까지 3년동안 주택보급율이 30~40만가구로 감소

-2001년부터는 다세대 주택공급물량이 증가한 반면 아파트공급물량이 전체공급물량 80%에서 50%로 감소

2. 낮아진 주택투자율

-주택투자율: 1년동안 아파트와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 주택건설에 투자한 금액이 죽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90년대 평균 8%인 2000년에는 4%로 주택수습 불균형이 발생

3. 낮은 자기집 보율율

-전국 54.2%이고 서울시기준으로 40.9%(2000년 기준)

4. 중·장년층 인구비중 확대

-2000년 이후에 36%로 향상

5. 수도권 인구유입증가

-면적은 전국토의 11.8%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47%가 밀집

6. 실물경기의 회복

-경기회복에 따른 가격상승 기대심리가 작용

7. 신도시 입주는 2006년 말부터

-2004년부터 화성신도시에 주택 4만가구

-2005년부터 판교신도시에 주택 3만가구

-2006년부터 김포와 파주신도시에 11만7천가구가 분양되고

-입주는 2006년말부터 화성부터 시작되고 2009년 판교에 입주가 이루어 질 것이다.

8. 아파트 구매력한계파악

-도시근로자가구 연평균소득대비 주택가격배율

-여의도 시범아파트 36평형의 매매가격과 근로자가구 연평균소득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약 20배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소득 추이
(88년 64만원이던것이 매년 10만원이상 상승하여 02년에는 279만원으로 상승)

9. 가격흐름을 파악하라

주간동향(투자심리를 파악)->월간동향(정책변화에 따른 가격변동을 파악)->연간동향

10. 부동산투자는 투자상품, 대상지역, 교통환경에 민감(우선 자기가 가지고 있는 부동산을 점검해보자)

11. 현실을 직시하자(강남대세론)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2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