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해피머니]보건소, 가격은 거의 무료, 수준은 종합병원[30]
추천 4 | 조회 14110 | 번호 311 | 2006.11.01 13:32 금융플라자 (financemas***)
보건소, 가격은 거의 무료, 수준은 종합병원
혹시 동네 보건소에 가보신 적이 있으세요? 일반인들에게 보건소는 왠지 낯선 곳으로 비칩니다. ‘보건소’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특정한 사람만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닐까”, “혹 진료수준이 일반 병원보다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부터 들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가까운 곳에 두고도 잘 이용하지 않는 대표적인 공공기관 가운데 하나로 꼽히곤 합니다.

하지만 보건소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싼 값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입니다. 서비스 질도 일반 병원에 비해 그다지 뒤떨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과잉진료와 같은 폐단이 없어 더 안심할 수 있습니다. 거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법 많고요.

우선 아기를 키우는 분들이 알아두면 좋은 제도가 있습니다. 보건소에서는 영유아들이 꼭 맞아야 하는 몇 가지 예방주사를 거저 접종해 주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태어난 지 4주가 안 된 영유아는 결핵(BCG) 예방주사를 무료로 맞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만 6살까지의 어린이는 백일해와 디프테리아, 파상풍(PDT), 소아마비 따위의 예방접종을 거저 맞을 수 있고요.

다음으로 B형간염 예방주사도 6개월까지의 영유아에게는 무료, 30㎏ 이하인 어린이에게는 1900원, 그리고 30㎏ 이상의 어린이에게는 5천원에 놓아 줍니다. 겨울철이 다가오면 접종을 하는 독감 예방주사도 65살 노인에게는 무료, 그 밖의 사람들에게는 병원보다 싼 3600원 정도에 접종해 주고 있습니다.

물론 보건소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운영하기 때문에 진료비나 서비스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료보호 환자나 65살 이상의 어르신들은 모든 서비스를 대부분 거저 받을 수 있답니다. 일반인도 건강보험에만 가입했다면 아주 싼 값에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약 처방 없이 진료만 받을 때 진료비는 500원, 약 처방과 함께 진찰을 받을 때는 1100원입니다.

약값도 거의 공짜 수준입니다. 1만원 이하일 때는 1500원이고, 1만원 이상일 때만 환자가 30%를 부담하지요.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처방전만 갖고 와도 약값은 똑같이 받습니다. 일반 진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치과는 진료·치료비 부담이 큰 편이지요. 그런데 치과가 있는 보건소도 꽤 많답니다. 치과 진료비는 일반 진료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게다가 이를 빼거나 치료, 구강검진 등 웬만한 서비스는 모두 제공합니다.

아참, 요즘은 한방진료를 하는 곳도 많아졌습니다. 한방진료는 대개 첩약을 쓰지 않고 침이나 부항, 투약 따위를 해줍니다. 침시술은 1100원, 투약까지 하면 2200원 정도로 싸게 이용할 만합니다. 아울러 나이 드신 분들이 이용하면 괜찮은 물리치료실을 갖춘 곳도 많습니다.

각종 검진 서비스도 다양
자궁암, 유방암, 위암과 같은 암검진도 보건소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건소마다 무료 암검진 대상자들을 따로 정하기 때문에 해당 보건소에 문의를 해보아야 합니다. 선착순으로 쿠폰을 발급하는 곳도 있고, 저소득층에게만 혜택을 돌리는 곳도 있거든요.

모자보건의 차원에서 임산부들에게 제공하는 무료 검진 서비스도 있습니다. 유산이나 조산, 사산 등을 예방하기 위한 혈액검사, 빈혈검사를 비롯해 태아에게 간염을 옮기지 않기 위해 간염검사와 에이즈검사를 해줍니다. 또 기형아 출산을 막기 위해 매독검사까지 받을 수 있지요.

이밖에도 결핵환자 관리, 성병검진과 치료, 건강검진 등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다양합니다. 특히 보건소에 결핵환자로 등록하면 최고 수준의 진료를 값싼 진료비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보건소마다 진료비나 서비스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거주한 지역에 있는 보건소를 이용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장 근방 등 거주지와 상관없는 곳에 있는 보건소를 이용하는 게 아주 불가능한 것은 아니죠. 지역보건소 위치나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려면 보건복지부 보건소 사이트 chc.mohw.go.kr를 참조하면 좋습니다.

<보건소에서 영유아들이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는 예방주사>

신생아

2
개월

4
개월

6
개월

12
개월

15
개월

18
개월

24
개월

4~6

6

12

B C G

B C G

B형

간염

B형

간염

B형

간염
(1개월)

B형

간염

DTP

DTP

DTP

DTP

소아

마비

소아마비

소아마비

MMR

MMR

MMR

일본

뇌염

일본뇌염
1) 12~24개월 1차
2)일주일 후 2차
3) 1년 후 3차

일본뇌염

※ ㆍBCG(결핵) ㆍDT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ㆍMMR(홍역 이하선염 풍진)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4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