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부동산생생토크]재테크의 시작은 인생 계획과 성격 파악에서부?[3]
추천 14 | 조회 12698 | 번호 308 | 2006.11.01 13:30 금융플라자 (financemas***)
재테크의 시작은 인생 계획과 성격 파악에서부터
재테크 강연회나 인터넷 동호회에서 활동을 하다보면, 내가 10년 전에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와 많은 차이를 느낄 수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사람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는 연령대가 예전보다 많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10년 전에는 보통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대 후반에 처음으로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요즘은 20대 중반 정도면 대부분 관심을 가지고, 심지어 대학교 들어가자마자 관심을 갖는 것을 종종 볼 수가 있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10년 전에는 관련 분야의 자료라고 해봐야 겨우 개론서 수준의 책이나 PC통신을 통한 정보밖에 없어서 재테크 환경이 열악하기 짝이 없었다.

반면에 요즘은 어떤가? 재테크 각 분야의 다양한 책들이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인터넷을 통한 엄청난 정보가 매일매일 폭주하고, 인터넷의 재테크 카페는 엄청난 회원 수를 자랑하며 성장을 하고 있지만 의외로 재테크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힘든 것이 또한 현실이다.

그러면 재테크에 관심은 많은데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적은 이런 현상은 도대체 왜 생기는 것일까? 나는 이렇게 된 원인에는 재테크 관련 정보를 생산해내는 사람들이 일반인들에게 제대로 정보를 전달해오지 못한 것과 정보를 접하는 사람들이 그 정보를 자기 것으로 제대로 소화를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당신이 차를 처음 구입해서 운전을 하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운전을 잘하기 위해서는 처음 운전을 배울 때 자동차와 운전에 관한 기본 지식 물론이고 실제 도로 위에서의 운전 연습이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만 운전을 잘 할 수가 있다.

재테크도 운전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개인의 ‘인생 계획’이다. 예를 들면 미혼인 경우 언제쯤 결혼을 할 것인지, 내 집 마련은 언제쯤 할 것인지, 직장 생활을 평생 계속할 것인지 아니면 준비가 되면 적당한 시기에 자기 사업을 할 것인지 등이 재테크 테크닉을 배우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나 역시 학교 졸업 후 신입사원 시절에 공부는 부모님이 시켜 주셨으니까 결혼만큼은 3년 정도 돈을 모아서 나 혼자 힘으로 하겠다고 은행의 3년 만기 적금에 들었었다.

그런데 막상 사회생활을 고향이 아닌 객지에서 시작해 회사에 적응하기도 힘든데 반 지하 전세방에서 불편하게 살다보니, 결혼을 빨리해서 자리를 잡는 것이 나의 장래를 위해 좋겠다는 쪽으로 마음이 바뀌었다.

그래서 직장 생활한지 1년 만에 서둘러 결혼을 하게 되어 이자는 한 푼도 못 받고 적금을 중도 해약하고 말았다. 당시 내가 조금만 신중하게 생각을 했더라면 1년 만기 적금을 들어 상당한 이자 수입을 얻었을 텐데, 신중하지 못해서 손해를 입은 것이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본인의 ‘성격 유형 파악’을 제대로 해야 재테크에 있어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의 성격을 크게 나누면 위험 회피(안정 지향형), 위험 선호, 그리고 중도적인 3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안정 지향형인 사람이 목돈 마련을 위해 어떤 금융 상품에 들까 고민을 하고 있는데 요즘 각종 언론과 많은 사람들이 간접 투자 상품인 펀드가 좋다니까 적립식 펀드 상품에 가입했다고 하자.

이 사람은 과연 자기에게 맞는 올바른 상품에 가입한 것일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펀드는 기본적으로 원금 손실이 생길 수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만약 이 펀드가 원금에 손실이 생긴다면 안정 지향형인 사람은 도저히 그것을 용납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위험 선호형인 사람은 원금 손실에 대한 가능성이 있는 상품이라도 좀 더 높은 수익을 위해 그런 위험을 충분히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당신의 성격은 어떤 유형인가 꼭 한번 질문해 보기 바란다.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14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