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산률을 높이기와 소득 재분배 |
|
김근태 복지부장관이 어느 인터뷰에서 임산부만 보면 반갑고 고마워서 인사를 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했을 정도로 우리 사회의
출산률 저하가 심각한 문제인데요. 매년 신생아 89만명이 출생해야 하는데 절반 수준인 49만명에 불과하여 출산률 평균이
1.17명이라 합니다.
우리나라의 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는 자녀수는 선진국 모임인 OECD 회원국들의 평균인 1.7명 선은 물론 애를 안 낳기로 유명한 일본의 1.33명에도 훨씬 못 미친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7%이상이면 고령화 사회라고 하구요. 14%이상 고령사회, 20%이상 초고령 사회라고 분류를
합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셋째 자녀의 출산비를 지원하고 소득 공제 혜택을 늘려주기도 하는 등의 출산 장려책을 내놓기도 하고 남성의 불임시술을 의료보험 대상에서 제외시키기도 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들을 모색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이미 초고령화 국가로 접어든 일본을 살펴보면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화하면서 가족의 개인화가 진행되어 고령자 단독세대라는 가족해체의 모습까지도 보여주고 있어 우리에게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습니다. 일본 역시 아이를 낳으면 출산장려금과 육아보조금을 주고 의료비를 대주는 등 출산률 저하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만
그 효과가 기대치에 못 미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집에서 실제로 보내는 시간은 하루 평균 4시간 30분 정도에 지나지 않아 가사노동에 남편이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불과 20분 정도라는 통계를 고려한다면 결국 구조적으로 가정 내에서 여성이 혼자 육아를 떠안을 수밖에 없다는 것 이죠 우리의 경우도 일본과 상황이 상당히 흡사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동경 등 주요 도시의 주택가격 상승으로
주거비용이 높아지자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젊은 계층들이 외곽으로 밀려난 것처럼 서울과 주요 대도시도 주거비용 상승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외곽으로 젊은 계층들이 밀려나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고학력화로 점차 사회 진출에 대한 욕구는 증가되고 있기도 합니다. 2004년 말 기준으로 월 120만원 이하를 받는 저임금 노동자가 699만명이고, 임금노동자의 절반을 넘는 55.9%에 해당하는 816만 명의 사람들이 비정규직이라는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고용의 질이 좋지 않아 서민경제가 상당히 어렵다는데 토를 달 사람은 없을 겁니다. 이처럼 성장이 분배로 이어지지 않은 채 분배구조가 악화되는 이유가 바로 고용 불안에 그 원인이 있습니다. 이것이 결국은 중산층을 무너뜨려 내수 침제로 연결되는 과정에 자영업 종사자들과 중소기업이 더더욱 어려워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바로 출산률 저하의 숨겨진 주범이기도 합니다. 무작정 젊은 사람들과 여성들에게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 설득을 할 문제가 아니라 도심에서의 공급을 늘려 주거비를 낮춰주고 동시에 소득 분배 구조를 개선시켜 중산층을 늘려줄 수 있는 있는 정책들이 성공을 할 때 출산률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