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에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목적어는 당연히 ‘돈’이다. 돈을 개같이 번다는 것은 ‘힘들고 어렵게’를 뜻하는 것이고, 정승같이 쓴다는 것은 ‘값지고 훌륭하게’라는 뜻이 숨어있는 것이리라. 그렇다면 한번 생각해 보자. 우리가 돈을 벌고 모으는 목적은 과연 무엇인가? 쓰려고 모으는 것 아닌가? 허리띠 졸라매고서 먹을 거 안 먹고, 입을 거 안 입고, 악착같이 모으고 또 모아서 통장잔액을 표시하는 숫자가 커지는 데에서만 희열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모르겠지만 우리들 대부분은 ‘돈을 쓰기 위해서 번다’. 집도 사고, 자동차도 사고, 아이들 교육도 시키고, 친구들과 술자리도 하고,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도 사고, 나중에 돈을 못 벌 때를 대비해서 미리 모아놓기도 한다. 그런데 사실 이렇게 쓰는 것을 정승같이 쓰는 거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럼 어떻게 쓰는 것을 일컬어 정승같이 쓴다고 할 수 있을까? 필자는 씀씀이에 나눔의 미학이 스며 있을 때 정승같다는 표현을 써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14세기에 영국과 프랑스는 백년전쟁이라는 지루한 싸움을 했다. 당시에 프랑스의 ‘칼레’라는 해안도시는 영국군에 대항해서 1년간 끈질긴 저항을 했지만 힘이 부쳐 결국에는 영국군에게 점령을 당하게 되었다. 칼레의 시민들은 점령군에게 자비를 구했지만 점령군은 그 동안의 항거에 대한 책임을 물어 칼레시민 중 6명을 대표로 처형하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칼레시민들은 과연 어떤 방법으로, 누구를 대표로 뽑을 것인가에 대한 혼란에 빠졌다. 그때 홀연히 스스로 대표가 되겠다고 자청한 사람은 다름아닌 칼레시(市) 최고의 부자인 ‘외스타슈 드 생 피에르’라는 사람이었고 이어서 시장, 법률가 등 다섯 명의 귀족들이 시민들을 구하겠다고 자발적으로 나섰다. 여기에 감동한 영국의 왕비가 왕에게 간청하여 칼레시민 누구도 피를 흘리지 않게 되었고 이들 부자와 귀족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서 후세에 로뎅은 ‘칼레의 시민’이라는 조각을 남겼고, 독일의 작가는 희곡을 남겼다. 이 사건에서 노블리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라는 말이 유래되었는데, 필자는 이것을 현재의 상황에 빗대서 한번 생각해 보고 싶다.
대한민국의 경제체제는 자본주의가 그 근간이고, 자본주의체제에서 가장 큰 권력은 다름아닌 ‘돈’이다. 따라서 자본주의에서는 돈을 많이 가진 자, 즉 부자가 노블리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자본주의는 장점이 참 많은 경제체제이지만 그에 못지 않게 단점도 많이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단점은 ‘부의 편중’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자본주의 국가들은 ‘부의 재분배’를 위해서 여러 가지 제도를 두고 있는데 세금과 사회보험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세금과 사회보험은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이 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노블리스들은 세금과 사회보험을 성실히 납부하는 것만으로도 오블리주를 실천한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실제로 얼마 전에 워렌 버핏은 본인을 비롯한 미국의 슈퍼 부자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한다고 말했고, 로레알 회장을 비롯한 프랑스의 부자들이 부자증세를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부자들은 어떠한가? 대한민국의 노블리스들은 과연 오블리주를 실천하고 있는가? 안타깝지만 그렇게 생각되지는 않는다. 삼성을 창업한 고(故) 이병철 회장이 작고했을 때 상속인들이 낸 세금은 176억 원이었고, 현대를 창업한 고(故) 정주영 회장의 상속인들은 300억 원을 상속세로 납부했다. 반면에 교보생명을 창업한 고(故) 신용호 회장의 상속인들은 1,340억 원을 상속세로 납부했다.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 고민이다. 우리나라의 상속세율은 대충 말해서 재산이 30억 원 이상이면 50%가 적용된다. 교보의 1,340억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가지만 삼성의 176억, 현대의 300억은 도저히 납득이 되지 않는다. 아니, 대한민국의 1, 2위를 다투던 부자들의 재산이 그것밖에 안 된다는 말인가? 어느 개그맨의 말처럼 “부자? 그까이꺼 대~충 한 1,000억 원만 개같이 벌면 대한민국에서 일등 할 수 있는 거 아녀? 삼성, 현대 제끼면 일등이잖어~” 이렇게 말할 수도 있지 않겠나… 다시 한번 말하지만, 자본주의의 노블리스는 부자들이다. 노블리스에게는 오블리주가 필연적으로 따라붙는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블리스들은 오블리주를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오죽하면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땅블리스 돈블리주’라고 하겠나. 참으로 불편한 진실이다.
이제는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기존과는 다르게 해석하고 싶다. 노블리스들에게 오블리주를 강요하지 말고, 오블리주를 실천하는 사람을 노블리스라고 부르는 건 어떨까? 필자의 생각이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 세금을 성실히 납부하고 있나? 그렇다면 여러분은 노블리스이다. 여러분은 국민연금, 건강보험을 성실히 납부하고 있나? 그렇다면 여러분은 노블리스이다. 혹시 한 달에 만원이라도 어딘가에 기부를 하고 있나? 그렇다면 여러분은 베오베(best of best) 노블리스이다. 인생은 공수래 공수거.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고, 영원히 나의 소유인 것도 없다. 재테크 열심히 해서, 개같이 벌어서 그거 뭐 할 건가? 저승에 가져갈 것도 아니다. 어느 노랫말처럼 알몸으로 태어나서 옷 한 벌은 건졌지 않나. 필자가 아는 어떤 부자는 가진 거 죽기 전에 다 쓰는 게 목표란다. 일견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쓰자. 단, 정승같이… 그게 나누는 것이다.
강준현 칼럼위원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