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당신의 이키가이는 무엇입니까?
추천 0 | 조회 8179 | 번호 2443 | 2013.07.26 14:27 한국FP협회 (che***)

 

100세 시대 재무설계를 위해 알아두면 도움될 몇 가지 개념

 

 

1) 이키가이

 

이키가이 (いきがい (甲斐)). 우리말로 번역하면사는 이유쯤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국제노화학회는 장수와 건강의 비밀을 찾아 내셔녈지오그래픽과 팀을 만들어 건강하게 장수하는 지역을 뜻하는 '블루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요. 그들은 전세계에서 100세 이상 노인들이 건강하게 살고 있는블루존지역 4군데를 찾아 냈는데, 그 중 하나가 일본 오키나와 군도의 한 섬입니다(오키나와 군도는 약 161개의 섬으로 이루어짐) 오키나와의 북쪽 어느 섬에서 100세 이상의 노인들이 건강하게 살고 있었는데, 그 비율은 무려 미국의 6배나 되었습니다. 노인들을 세심하게 관찰한 결과 그들의 대부분은 소식을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습관은 바로이키가이였는데, 장수의 비결에 대해서 질문을 하였을 때 그들이 이구동성으로 대답한 단어였다 합니다. 그들은 아침마다 일어날 때 각자의 이키가이를 알고 있었습니다. 102세의 가라테 고수인 노인의 이키가이는 역시 가라테였고, 101세인 어느 할머니의 이키가이는 그녀의 증증증 손녀였다 하네요. ‘손녀의 손녀를 보는 기쁨이 어떠냐?’는 제작진의 질문에 할머니는천국을 걷고 있는 기분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른 어떤 물질적 이유보다 삶에 대한 근원적인 목적이 분명할수록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삶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되겠습니다.

 

 

 

2) ROL

 

ROL투자수익률을 의미하는 ROI(Return on Investment)에 빗대어서 만들어진 조어로 Return on Life의 두문자를 따서 만들어졌습니다. 삶으로부터 수익률이란 의미지요. 재테크나 투자설계를 할 때 보통 사람들은 제일 먼저 수익률을 먼저 고민합니다. ‘이 투자를 통해서 얼마를 벌 수 있지?’ 라는 고민의 기준이 바로 ROI입니다. 높은 수익률이 돈을 버는 가장 큰 이유가 되겠네요. 즉 돈의 목적은 다시 돈이 됩니다. 반면에 ROL의 관점에서 볼 때 돈은 수단입니다. ROL이 재무설계의 기준이 될 때 돈은 삶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도구가 됩니다.

 

 

 

3) 어플루엔자 바이러스(Affluenza virus)

 

어플루엔자는 풍요를 뜻하는 단어 ‘affluence’와 유행성 감기를 말하는 ‘influenza’를 결합한 조어로부자병’, 즉 풍요로울수록 더 많은 것을 욕망하며 소비에 중독된 상태를 뜻합니다. 어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정한 기준을 맞추기 위하여 동분서주하고 공허한 인생을 위로 받기 위해 지나치게 돈에 집착합니다. 이 같은 정서적 고통의 원인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상품으로 다루기 때문이라 분석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가치를 재산, 학력 혹은 외모로 평가하고, 이익이 없다면 공동체에 기여하거나 가족과 친구를 위해 희생하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남들보다 더 나은가를 비교하기 때문에 불안하고 타인보다 무능력하다는 자기비하를 자주 겪고, 더 큰 집, 더 높은 지위, 더 매력적인 외모를 소유함으로써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 징검다리 연금.

 

퇴직이 늦고 수명이 짧았던 과거에는 노후자금준비 전략은 상대적으로 단순했습니다. 하지만, 평균수명이 점점 길어지고 퇴직시점이 당겨지는 시대의 노후자금준비 전략은 달라져야 합니다. (사망까지의 기간이 너무 길어진 탓에 은퇴기간을 여러 단계로 쪼개야 합니다).

먼저 주된 직장으로부터의 퇴직시기, 국민연금수령시점까지의 기간 예상이 필요합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완전노령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나이 전이라도 55세 이상이 되면 수입이 없을 때 조기노령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조기노령연금을 수령시 완전노령연금에 비해 연령별로 할인된 금액으로 수령합니다. 한번 할인된 연금액은 평생 지속되기에 수령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명이 길수록) 손해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직장으로부터의 퇴직시점 ~ 공적 연금 수령시점 의 공백을 채울 수 있는 징검다리 연금이 필요합니다.

 

 

 

5) 복리의 마술

 

‘복리의 마술은 투자에서 시간의 위력을 말해주는 대표적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30세가 65세의 은퇴준비를 위하여 약 14억원의 돈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다면, (세후 투자수익률 8% 가정시) 지금부터 (68만원/) 28,000만원을 준비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투자를 10년 늦추게 되면, 총 투자금액이 48,0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그만큼 투자에 있어서 시간의 힘은 강력합니다.

또한, 시간의 힘은 재무적 해결안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퇴직 후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기 위한 투자 역시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좋아하는 일을 잘하는 일로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설사 지금 당장은 재능이 아니더라도 좋아하는 일이 있다면 시간이 그 일을 재능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만약 지금부터 10년 단위로 하나씩 재능을 만들어 나간다고 한다면 최소 2~3개의 특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결국 투자한 시간만큼 30년이 넘는 은퇴생활을 보람 있고 재미있게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최문희 칼럼위원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