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부동산생생토크]상가 초보 벗어나기-3
추천 8 | 조회 6998 | 번호 243 | 2006.10.31 16:18 금융플라자 (financemas***)
상가 초보 벗어나기-3
지난 번 상가분양 받는 시기와 상가분양 형태 및 방법에 이어 상가의 종류 및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상가의 종류 및 장단점

상가는 크게 테마상가, 근린상가, 아파트 단지 내 상가 등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먼저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테마 상가는 백화점이나 쇼핑몰이 하나의 건물에 공산품, 농·수산물, 의류, 전자, 가구 등의 여러 업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전문 테마상가는 말 그대로 건물 전체가 하나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의류상가, 공구상가, 전자상가 등이 대표적인 테마 상가다.

대부분 전문 상품만을 취급하므로 가격이나 품목이 다양하고 한 곳에서 비교하여 가장 최적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고객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테마 상가는 정확한 입지와 인허가 상황, 경제 상황, 수급 상황 등에 따라 아직 일반인들이 투자하기에는 위험이 크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외한다.

근린 상가는 건축법상으로는 근린 생활시설 이라고도 하는데 우리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한 제과점, 약국, 세탁소, 미장원, 학원, 병, 의원 등의 상가를 말한다. 대개는 2~5층 규모의 중간층 규모로 세워지는데 최근에는 그 규모가 상권에 따라 점점 대형화, 전문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근린 상가는 아파트를 끼면서 주도로와 인접한 지역이 가장 좋다. 이런 장소는 임대를 하던 직접 경영을 하던 큰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단지 내 상가는 주택 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공동 주택 건립시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해 설치한 상가이다. 배후 세대가 일정 부분의 매출을 보장해 줄 수 있고, 보통 아파트 입주 시점을 6개월 정도 앞두고 분양을 하기 때문에 투자금 회수가 빠르다.

근린 상가와 아파트 단지 내 상가를 비교해 보면,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경우는 안정성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수익성이 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근린 상가는 보통 아파트 단지가 완공된 이후에 들어서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단지 내 상가에 비해 상가가 활성화되는데 시간이 좀 더 걸리는 단점이 있다. 둘의 장/단점을 표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 근린 상가와 단지 내 상가의 장단점)

근린 상가

단지 내 상가

상가 활성화에 시간이 걸림

상대적으로 수익성 높음

안전성 높음(슈퍼, 부동산)/

투자금 회수가 빠름

수익성 약간 낮음

사실 안정성으로는 단지 내 상가가 유리하나 수익성이 다소 낮다. 수익률이 적은 이유는 예전과 달리 대형 할인점과 백화점 같은 대형 유통 업체가 시장을 주도하면서 중소규모 판매점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단지 내 상가에 가보면 남아있는 것은 슈퍼와 부동산, 그리고 세탁소와 중국 음식점 같은 기술 업종뿐인 것이 현실이다.

다음에는 일반인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고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 내 상가 투자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8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