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리포트(제3호)
[재형적금 길라잡이]
“산업은행의 KDB다이렉트재형저축”, “외환은행의 외환신재형저축”이
기본금리과 우대금리를 합쳐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
주목할 재형적금.pdf(다운로드 받기)
♣ 평가 방법
|
재형적금을 평가할 때는 주로 금리를 고려하였다. 적금의 주된 혜택은 역시 ‘금리’이기 때문이다. 단, 기본금리와 달리 우대금리는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지급받을 수 있으므로 우대금리보다는 기본금리에 좀 더 가중치를 두어 평가하였다. |
[평가 기준]
|
♣ 평가 대상
|
‘전국은행연합회(www.kfb.or.kr)’에 금리 및 우대금리 정보를 공시한 은행의 재형적금을 주된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저축은행 등에서도 재형적금을 판매하기도 하지만 접근성이 낮고 장기상품으로서의 안정성도 고려해야 하므로 이번 평가에서는 배제하였다. |
[평가 대상]
농협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산업은행, 수협은행, 신한은행, 외환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한국씨티은행, 한국SC은행 |
♣ 우수 재형적금
평가 결과 ‘KDB다이렉트제형저축’과 ‘KDB드림재형저축’은 기본금리가 다른 상품에 비해 현저히 높았기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편 ‘외환 신재형저축’은 기본금리가 조금 낮은 편이었지만 우대금리를 포함한 최고 총금리는 가장 높았다. ‘NH농협행복재형저축’과 ‘우리희망재형저축’의 경우, 최고 총금리는 조금 낮은 편이었지만 우대 금리 조건이 다양하여 상대적으로 조건 충족이 용이하므로 ‘우수 재형저축’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 한편 ‘IBK재형저축’은 최고 총금리가 4.6%로 가장 높은 축에 들었지만 우대금리 조건이 다양하지 못했기에 우수한 상품으로는 선정되지 못했다.
|
상품명 |
기본금리 |
최고 우대금리 |
최고 총금리 |
우대조건(우대금리) |
|
(KDB산업은행) KDB다이렉트재형저축/ KDB드림재형저축 |
4.5%/ 4.4% |
0.1%/ 0.1% |
4.6%/ 4.5% |
- 급여이체 50만원 이상(0.1%p) |
|
(KEB외환은행) 외환 신재형저축 |
4.3% |
0.3% |
4.6% |
- 가입 후 12개월 이내 급여이체실적이 3개월 이상 있거나, 외환카드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고 결제계좌가 외환은행인 경우 (0.1%p) |
|
(NH농협은행) NH농협행복재형저축 |
4.3% |
0.2% |
4.5% |
- 가입일 해당월로부터 만기일 전월말까지 농협은행 NH채움·BC(신용·체크) 카드 이용 실적 또는 농협은행 현금카드 결제실적이 월 |
|
(우리은행) 우리희망재형저축 |
4.2% |
0.3% |
4.5% |
- 우리은행으로부터 급여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0.1%p) |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