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투자자리포트(제1호)] 4. 급여통장
추천 1 | 조회 1815 | 번호 2365 | 2013.02.22 15:07 투자자보호재단 (inv***)

 투자자리포트(제1호)

 

      1. 주목해 볼 펀드

      2. 우수 펀드판매회사

      3. CMA

 4. 급여통장

      5. ELS/DLS 발행정보 검색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발간한 투자자리포트는 금융회사 및 금융서비스 · 상품에 대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매 분기 발행되며, Daum을 통해 격주로 내용을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급여통장”

 

 사회초년생들의 고민 중 하나는 급여통장을 고르는 것이다. 이때 간과하기 쉬운 점은 급여통장이 수입뿐 아니라 출금 · 이체, 대금결제 등 지출까지 관리하는 계좌라는 점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급여통장을 만든 은행에서 적금, 펀드 등에 가입하거나 대출을 받는다. 즉, 급여통장의 선택은 주거래 은행을 선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림1] 급여통장의 기능

 

그러므로, 사회 초년생들이 급여통장 거래를 틀 때, 아무 은행이나 무작정 고를 게 아니라 출금 · 이체, 대금결제, 대출, 저축 면에서 곰곰이 따져서 종합적으로 우수한 서비스가 기대되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좋은 급여통장 고르기>

 

「투자자리포트(제1호)」는 좋은 급여통장을 고르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급여통장들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급여통장으로써 꼽은 금융상품은 그 명칭에 ‘급여’ 또는 ‘주거래’라는 용어가 사용된 상품이다. 한 은행에 두 개 이상의 급여통장이 있는 경우 좀 더 보편적인 상품(예 : 가입연령 제한이 없는 급여통장)을 선택하였다.

 

① 이체·출금수수료

 

지난 회에서 소개하였던 CMA와 마찬가지로 급여통장도 이체 · 출금 수수료가 저렴한 상품을 고르는 것이 좋다.

 

통장에 평균적으로 월 50만원의 잔액이 남아있다고 할 때, 이자율이 0.2%라면 연 이자는 1,000원에 불과하다. 반면 이체 · 출금 수수료는 회당 약 400원~1,600원 정도이므로 이 비용을 절약하는 것이 고금리 통장을 찾는 것보다 훨씬 이득이다.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발간한 「투자자리포트(제1호)」는 복잡한 ‘수수료 체계’와 ‘급여통장 인정조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수수료 등급’을 선보였다. 수수료 등급 산정 시 ‘급여통장 인정조건’을 함께 고려한 것은 급여통장 인정 시에만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등급은 ‘최우수/우수/양호/보통’의 4가지로 나뉜다. 최우수일수록 투자자에게 수수료 측면에서 유리할 뿐 아니라 급여통장 조건도 충족시키기 쉽다.

[표1] 수수료 등급별 각 은행의 급여통장

수수료 등급   은행 및 급여통장(그룹내 가나다순)
 최우수 (4개사) 씨티은행(참 좋은 수수료제로 통장), 신한은행(신한 직장인 통장), KEB외환은행(넘버엔 통장), SC(내 지갑 통장)
 우수 (4개사) 대구은행(직장인재테크통장), 부산은행(메리트급여통장), 전북은행(JB플러스 급여통장), KB국민은행(직장인우대 종합통장)
 양호 (6개사) 광주은행(급여우대통장), NH농협(채움샐러리맨급여통장), 우리은행(우리직장인재테크통장), 제주은행(제주사랑주거래통장), 하나은행(늘~ 하나 급여통장), IBK기업은행(IBK급여통장)
 보통 (1개사)  경남(KNB직장인우대통장)

(자료 : 2011년 11월 기준 각 금융회사 홈페이지)

 

씨티은행의 ‘참 좋은 수수료제로 통장’, 신한은행의 ‘신한 직장인 통장’, KEB외환은행의 ‘넘버엔 통장’, SC은행의 ‘내 지갑 통장’은 수수료가 저렴하고 급여통장 조건도 무난하기에 최우수 등급을 받을만했다.

 

급여통장들의 구체적인 수수료 수준과 면제조건이 어떠한지 확인하고 싶다면, 한국투자자보호재단(www.invedu.or.kr)을 방문하여 「기초통장」 → 「급여통장」을 클릭하면 된다.

 

 

[그림2] 한국투자자보호재단 「급여통장」

 

 

② 기본금리

 

급여통장은 기본금리가 매우 낮지만, 통장잔고에 따라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자신의 평균 잔고나 결제일 잔고를 고려하여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표2] 기본금리가 우수한 급여통장

 잔고  은행 및 급여통장(그룹내 금리순)
 50만원 이하 IBK기업은행(IBK급여통장, 3.0%)
 50만원 초과~100만원 이하 SC(내 지갑 통장, 4.1%),
시티은행(참 좋은 수수료 제로 통장, 3.8%),
전북은행(JB플러스 급여통장, 3.0%)

(자료 : 2011년 11월 기준 각 금융회사 홈페이지)

 

단, 급여통장들이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잔고상 한도가 있어 실제 받는 이자는 그다지 많지 않다. 급여통장을 고를 때에는 무조건 기본금리만을 따지기보다 이체 · 출금 수수료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안목이 필요하다.

 

③ 우대금리

 

급여통장 가입 시 적금이나 대출에 우대금리를 주는 은행도 있다. 해당 상품의 가입 및 활용을 생각하고 있다면 미리 우대금리도 확인해 보아야 한다.

 

[표3] 우대금리가 높은 급여통장

구분  은행 및 우대금리 적용상품(그룹내 금리순)
 예 · 적금 신한은행(신한 직장인적금, 0.5%p),
NH농협(채움 적금(2년 이상), 0.5%p),
대구은행(직장인적금, 0.4%p)
 대출 대구은행(직장인 재테크통장 대출, 0.2%p),
전북은행(예금담보대출, JB해피홀론(가계신용대출), 0.2%p), SC(돌려드림론, 0.2%p)

(자료 : 2011년 11월 기준 각 금융회사 홈페이지)

 

각 은행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우대금리는  「투자자리포트(제1호)」와 재단 홈페이지  「기초통장」 → 「급여통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는 시장 사정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가입 전 해당 은행에서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1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