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돈의 배반] 앞으로 10년, 어떤 위기가 다가오는가?[13]
추천 0 | 조회 20226 | 번호 2318 | 2012.04.23 15:01 금융 (finance1.***)

앞으로 다가오는 10년은 세계 역사상 가장 변화무쌍한 10년이 될 것이다. 불행하게도 과거의 유산에 집착하고 있는 사람들, 즉 직업 안정성, 저축, 집 그리고 은퇴연금 등에 집착하는 사람들은 앞으로 다가올 세계적인 금융 폭풍에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그 근거는 무엇인가.

 

1. 더 많은 사람들이 더 가난해질 것이다

앞으로 부유층과 빈곤층의 격차는 더 커질 것이다. 중산층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빈곤층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그리고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에서도 가난한 사람들은 더 많아질 것이다.

정부가 은행가들을 구제하려고 나서는 순간 이는 빈곤층과 중산층을 희생시켜 부유층을 구제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10년 동안 부자들은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사람들과 중산층은 세금 부담과 인플레이션 때문에 더욱 빈곤해질 것이다. 향후 10년 동안 다음과 같은 일들이 벌어지면서 금융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사람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이것은 더 많은 세금, 열악한 대국민 서비스 그리고 더 많은 실직을 의미한다.

 

2. 돈은 쓸모없는 종잇조각이 될 것이다

1971년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금본위제도를 폐지하면서 돈의 법칙이 바뀌었다. 미국 달러는 화폐로서의 기능을 상실했고 부채의 수단이 되고 말았다. 1971년 이후 저축을 하는 사람들은 모두 경제적으로 패자가 되었으며, 미국 달러화의 구매력 가치는 95퍼센트나 하락했다. 나머지 5퍼센트의 가치를 잃게 되는 데는 아마 40년도 채 걸리지 않을 것이다.

손에 쥔 과일을 놓지 못해 나무구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원숭이처럼 수백만 명의 사람들은 여전히 저축에 집착하고 있다. 은행에 저축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은행이 돈을 찍어낼 수 있다면 당신도 돈을 찍어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금융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3. 상상 이상의 더 큰 인플레이션을 겪게 될 것이다

2000년 1월 4일, 금 1온스(약 8돈)의 가격은 282달러였다. 10년 후인 2010년 12월 30일에 금 1온스의 가격은 1,405달러로 상승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 달러화의 가치는 금과 비교해 398퍼센트나 하락했다. 2000년 1월 4일, 원유 1배럴의 가격은 25달러였다. 2010년 12월 31일, 원유 1배럴의 가격은 91달러로 올랐다. 10년 만에 원유의 가격은 264퍼센트가 상승했지만 정부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 교육을 받은 똑똑한 사람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질 것이다. 앞으로 10년 뒤인2020년 12월 31일에 금 1온스의 가격은 얼마나 될까? 휘발유 1갤런의 가격은 2020년 12월 31일에 얼마나 오를까? 앞으로 10년이 지나면 식료품은 얼마나 더 비싸질까?

금융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은 이런 질문을 하지 못한다. 대신 학교로 되돌아가고, 더 열심히 일하고, 더 많은 세금을 낸다. 그리고 더 비싼 가격을 주고 물건을 구입하고, 정해진 수입의 범위에 맞춰 살기 위해 최선을 다해 저축하고 또 저축만 할 뿐이다.

 

4. 구제금융은 세계 경제위기의 결정타가 될 것이다

2010년, 사람들은 서브프라임(subprime) 사태의 전모와 전 세계에 걸쳐 수조 달러의 구제금융이 집행됐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현재 수많은 사람들이 각국 정부들이 부유한 은행가들을 구제해주고, 그 책임을 힘없는 납세자들에게 전가하는 것에 대해 분노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은행에 대한 구제금융지원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있었고, 1971년 이후 그 규모가 증가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1980년대에 은행에 대한 구제금융의 규모는 수백만 달러 정도였다. 1990년대에는 그 규모가 수십억 달러로 증가했다. 2007년부터는 은행에 대한 구제금융이 국제적인 문제가 되었고, 그 규모도 수조 달러로 증가했다.

금융 교육을 받지 못한 탓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빚=나쁜 것’이라는 사고방식에 둘러싸인 것은 불행한 일이다. 손에 쥔 바나나를 놓지 못해 나무 구멍에서 손을 빼지 못하는 원숭이처럼 사람들은 달러라는 종이돈에 집착하면서 부채에서 벗어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제대로 된 금융 교육을 받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채가 나쁘다고 생각한다. 부채를 활용해 더 많은 돈을 벌 수 없다면 그 부채는 나쁜 것이다. 그러나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주는 좋은 부채도 있다.

 

5. 산업화 시대가 끝나면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다

산업화 시대는 1500년경에 시작해 2000년에 끝났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에 미국은 산업화 시대의 제국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되었다. 산업화 시대에는 기술, 공장, 훌륭한 학교 그리고 강력한 무기를 소유한 국가들이 세계를 지배했다. 자동차 산업, 항공 산업, 라디오와 TV 산업 그리고 무기 산업이 세계 경제를 지배했던 산업화 시대에는 근로자가 평생 고임금을 받는 직업을 가질 수 있었고, 노동조합에 의해 보호를 받았으며, 죽을 때까지 은퇴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었다.

이런 산업화 시대에 금융 교육은 중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1989년 ‘월드와이드웹www’이 탄생하면서 산업화 시대는 종말을 고했고, 정보화 시대가 시작됐다. 앞으로 다가올 10년 동안 임금이 비싼 선진국의 공장들이 저임금 국가로 이전되고, 더 많은 일자리들이 기술에 의해 대체될 것이다. 평생 고임금을 받는 직업을 유지하고 죽을 때까지 은퇴연금을 받는다는 사람들의 생각은 구 시대의 사고방식이 되었다.

오늘날 미국은 가장 부채가 많은 국가다. 미국은 현재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같은 복지 프로그램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부채를 지고 있다. 따라서 직업 안정성과 평생연금이 보장되지 않는 정보화 시대에 금융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출처: 앞으로 10년, 돈의 배반이 시작된다 - 로버트 기요사키]

흐름출판(http://hbooks.co.kr)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