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해피머니]휴면카드에서 떼어간 연회비 돌려받으세요![2]
추천 5 | 조회 13771 | 번호 23 | 2005.08.05 10:42 푸른공간 (bluespac***)
휴면카드에서 떼어간 연회비 돌려받으세요
즐거운 휴가들 많이 다녀 오셨는지요? 떠나는 여행 길은 마냥 즐겁지만, 지갑은 조금 괴로와지는 때가 요즘이 아닌가 싶습니다. 명절 준비 때를 제외하고 1년 가운데 카드를 가장 많이 쓰는 때가 이때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여러분 지갑 속을 한번 열어보시겠어요? 보통 몇 장의 카드를 가지고 다니고 계신가요? 주로 쓰는 카드는 1~2장 밖에 되지 않지만 이래 저래 발급받아 놓고 쓰지 않는 카드들이 뭉치로 들어 있지는 않으세요? 이른바 ‘휴면카드’들을 몇 장씩 보유하고 계실 겁니다.

이 휴면카드에 대해 최근 금융감독원이 좋은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1년 이상 사용하지 않은 `휴면 신용카드’에 대해 회원 본인이 탈회 의사를 밝히면 미사용 연도분에 한해 연회비를 반환받을 수 있게 한 거지요. 휴면카드의 연회비 관련해서 문제가 많았습니다. 원래 카드를 발급받고 한번도 이용하지 않는다면 카드 연회비를 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명확한 원칙이 아니어서 한번도 사용하지 않는 신용카드의 연회비를 꼬박꼬박 챙겨간 회사들이 꽤 많았습니다. 카드사 약관에 휴면카드에 대한 연회비 규정이 명확히 명시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예전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카드를 한번이라도 이용했을 때에는 연회비를 징수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린 적이 있어 휴면카드 연회비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됐습니다. 또 신용카드는 유효기간이 만료됐을 때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자동으로 기간이 연장되기 때문에 아무리 오래된 카드라도 안심할 수 없었지요.

하지만 이번 조치로 억울하게 냈던 휴면카드의 연회비를 돌려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 카드 회원으로 등록한 뒤 2003년∼2005년 카드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미사용 연도 3년치 연회비를 돌려 받을 수 있게 된 거지요. 단, 카드 등록 뒤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당해 년도의 연회비는 돌려 받을 수 없습니다. 카드발급 비용 때문이라고 하네요.

또 금감원은 3년 이상 장기 미사용 신용카드에 대해서는 카드사가 회원에게 먼저 연락해, 탈회 의사를 확인한 뒤 회원에서 삭제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이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요. 보통 쓰지 않는 카드가 있을 때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아마 카드사에 전화를 걸거나 인터넷으로 해지 신청을 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신청을 하면 ‘해지’가 아니라 ‘이용정지’ 상태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지와 이용정지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해지를 해야만 카드사에 자신의 기록이 말끔이 사라집니다. 반면 이용정지만 하면 더이상 카드를 이용하지는 않지만 카드사에 자신의 기록이 남게 되지요. 한참 동안 쓰지 않고 있는 카드사에서 종종 전화를 걸어와 이용을 권하는 게 그래서 가능합니다. 따라서 깔끔한 처리를 원한다면 해지를 하는 게 좋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금감원 권고로 3년 이상 쓰지 않는 카드 사용자들에게 카드사가 먼저 연락해 회원 삭제를 하도록 한 것이거든요. 하지만 ‘권고’ 사항이라 카드사들이 꼭 이행을 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쓰지 않는 카드가 있다면 스스로 해지 절차를 밟는 것이 좋습니다. 해지를 하기 위해선 카드사를 직접 방문하거나, 팩스로 해지신청서를 작성해 보내야 해 조금 번거롭지만요.

참, 카드 뒤에 서명은 해 놓으셨나요? 만약 분실할 때를 대비해 카드 뒤에 서명은 반드시 해 놓으셔야 합니다. 보통 카드를 분실했을 때 바로 신고만 하면 신고일 전후 60일 동안은 다른 사람이 이용한 것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카드에 서명을 하지 않으면 분실자에게 책임이 돌아가거든요. 이럴 때에는 카드를 받은 가맹점에도 서명을 확인하지 않은 과실을 인정해 분실자와 가맹점이 50%씩 부담을 지곤 합니다. 따라서 카드는 새로 발급받자마자 서명부터 하는 게 좋습니다.

분실할 때를 대비해 ‘총한도’를 많이 줄여 놓는 분들도 계시지요. 자신의 카드 소비도 줄일 수 있어 전문가들이 많이 권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총한도의 정확한 뜻을 모르면 이용에 불편을 가져올 수도 있거든요.

예를 들어 카드의 총한도가 120만원인 경우, 지난 달에 10개월 할부로 100만원짜리 냉장고를 샀다고 해보지요. 그러면 첫 할부금 10만원을 내는 이번 달의 잔여 총한도는 얼마가 될까요? 120만원에서 10만원을 뺀 110만원이 되지 않을까 싶지만, 실제로는 30만원이 됩니다. 총한도에서 냉장고 값 100만원을 모두 뺀 20만원에 할부금 10만원을 냈으므로 그만큼을 더해주는 거지요. 그 다음 달에 10만원을 더 내면 총한도는 40만원으로 되고요. 따라서 할부 구입을 할 때엔 다른 소비 계획도 잘 따져보고 이용해야 합니다.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5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