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이민 가정의 남편 월급은 150만원이다. 필리핀에서 온 아내는 남편이 큰 부자라고 여기고 10만원이 넘는 아이의 옷을 덜컥 저질렀다. 외국인 아내는 자신이 무엇을 잘 못 했는지 인식하지 못한 채 남편의 원망을 들어야 했다. 화폐의 구매력개념이 형성되지 못한 탓이다.
평범한 우리 나라 사람들이라면 150만원의 돈이 빠듯한 생활비라는 개념이 있다. 대략 관리비와 식비, 교통비와 교육비 등이 어느 정도 빠져나갈 지 알기 때문에 그 정도의 소득이라면 갑갑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물가를 모르는 이민자에게는 그런 판단이 쉽지 않다. 대단히 큰 돈이라는 생각에 덜 중요한 것에 쉽게 지갑을 연 것이다. 심지어 지갑에 만원이 들어 있으면 돈 쓰는데 신중해 지는 반면 십만원이 들어 있으면 충동적으로 소비하게 된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화폐 개념이 없다는 것은 일상적인 생활에 장애를 주는 일이나 다름없다.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기본적인 경제적 의사결정 능력의 부재이다.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들이라면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엄마 돈이 없으면 신용카드로 쓰면 되잖아.’ 지금의 부모 세대는 어릴적부터 심부름으로 자연스런 경제교육을 받았다. 두부 한모, 콩나물 몇 백원어치의 심부름 속에서 화폐의 구매력을 자연스레 익힐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아이들은 대량 구매하고 한꺼번에 신용카드를 긁어 소비하는 부모의 소비생활 속에서 화폐 구매력 개념을 익히지 못하고 자란다. 특히 부모의 일상적인 신용카드 사용을 보고 자란 아이들은 이민자의 경우처럼 화폐 개념이 추상적이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자원의 크기가 머릿속에 구체적으로 그려지지 않는다.
뿐만아니라 돈이 쉽게 생기는 것 쯤으로 여기고 욕구 실현을 적절히 통제해야 한다는 의식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쉽게 벌고 충동적으로 소비하고 사는 성인으로 자랄 위험이 있다. 쉽게 벌 수 있다는 믿음은 약간의 힘든 노동 앞에서 쉽게 포기하게 만든다. 욕구 통제 능력이 없으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때 큰 좌절감이나 상실감을 경험할 수 있다. 아이들에게 신중한 태도로 최선의 것을 선택하는 소비습관을 의도적으로 보일 필요가 있다. 하나를 얻으면 내 지갑의 현금이 포기되어진다는 것을 보고 자라게 해야 한다. 그래야 새로 갖게 된 것이 무언가를 포기해서 얻게 된 가치있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사회적기업 에듀머니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