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에듀머니칼럼] 소비의 질적 전환이 필요한 시대[1]
추천 0 | 조회 2089 | 번호 2151 | 2010.10.07 17:15 에듀머니 (edu7***)

신용카드가 화폐의 기능을 대체하면서 소비생활은 쉬워지고 간편해졌다. 이제 신중하게 생각하면서 소비하는 사람은 다른 이의 눈치를 봐야할 판이다. ‘왜 그렇게 쫀쫀하고 구질구질하게 살지?’라는 핀잔을 의식해야 한다. 절약해서 돈을 모았고 집도 사고 통장도 많아졌다는 이야기는 한편 부럽기도 하고 반성도 불러오지만 동시에 그럼에도저렇게 살고 싶지 않다는 비호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신중하게 소비하는 것은 비호감을 살만큼 인색하고 구질구질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합리적인 소비 의사결정과정을 거쳐 소비의 질을 높이는 지적인 과정이다. 물질적으로 충분하지 않은 세상에서는 물질의 소유 정도와 소비의 양으로 그 사람의 행복과 사회적 계층을 가늠한다. 즉 문명적 사치 정도가 사람의 가치를 결정하는 잣대가 된다. 19세기 경제학자 J.S밀의 정지상태이론에 따르면 경제성장이 정지한 상태가 되면 비로소 정신문화나 도덕적 사회적 진보 등의 진정한 인간의 진보가 실현될 수 있다고 한다. 그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만큼의 경제성장이 정점에 이른 것은 아니지만 갈수록 저성장으로 접어들고 물질적 빈곤에서 벗어나면서 문명적 사치가 아닌 문화적 사치를 위한 소비의 질적전환이 필요한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쌀독에 쌀만 가득해도 부자와 같은 심정을 갖는 시대가 아니라 인문학적 자기 계발을 필요로 하는 세상이지 않은가.

물론 가계부채가 심각하고 많은 중산층 가정이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도 돌아보면 쌀을 사기 위해 빚을 낸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신용카드에 의한 합리적 의사결정이 생략된 소비를 하면서 냉장고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를 쌓아두고도 또다시 마트에서 장을 보는 왜곡된 소비가 문제이다.

 

신중하게 소비하는 것은 커다란 냉장고와 큰 평수의 집, 정수기와 제빵기, 식기 세척기 등의 전자제품의 수를 늘리는 문명적 사치를 벗어나는 것이다. 많은 것을 소유하면서 편리한 생활을 지향하지만 정작 큰 집의 비싼 관리비와 전자제품들의 전기요금 등의 각종 유지관비를 벌기 위해 돈버는 노동과 재테크에 매달려 불편하게 살아야 하지 않은가.

 

상담을 통해 어느 소비자는 집안의 물품을 정리했다. 전자제품의 수를 줄이고 옷장을 정리하고 수납공간을 털어내면서 전기요금이 줄어들고 각종 렌탈료를 구조조정했다.

옷장을 정리하고 나니 의류비가 줄어들고 집안의 짐이 줄어들면서 소비 횟수가 확연히 줄어들었다. 줄어든 비용만큼을 휴가비를 여유있게 책정하고 취미생활과 노후 이모작을 위한 자기 계발 비용을 늘렸다. 소득이 늘어난 것이 아니고 신용카드 대신 현금을 사용하면서 불편한 소비를 자처하지만 이전에 비해 삶의 만족이 늘었다고 한다. 이전 같으면 할인이라는 문구만 봐도 지금 사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면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먼저 떠올린다. 전자제품의 편리대신 불편한 수고를 감수하지만 전자제품을 소유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불해야 했던 비용으로 콘서트 티켓 한 장을 더 구매한다. 신중하게 소비하는 것은 최상의 선택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스티븐 코비 박사의 성공하는 사람의 7가지 습관을 떠올려보자. 소중한 것과 중요한 것을 먼저하는 시간관리의 의사결정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소비의 원리도 이와 같다.

 

 사회적기업 에듀머니

카페로 오시면 더 다양한 정보들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