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투자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농산물 투자
추천 0 | 조회 1027 | 번호 2085 | 2010.08.09 09:41 금융 (finance1.***)

[아이엠리치]여름 더위가 어제오늘 이야기는 아니지만 이번 여름은 유난스러운듯하다. 무슨 이유인지 경제가 안 좋으면 날씨도 안 좋고 사건사고도 유난스럽게 많이 터진다.

 

요즘 들어 농산물가격의 급등소식이 뉴스를 통해 계속 흘러나오고 있다. 초저금리와 폭발적인 유동성으로 호환마마보다도 더 무섭다는 금융위기는 잡았지만 이상기후까지 잡기에는 무리인 것 같다. 제아무리 인간이 꾀를 낸다고 해도 피할 수 없는 난관은 있기 마련인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값의 급등이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경제에 적신호가 되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는 경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마련인데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이 대표적이기도 하지만 농산물 작황에 큰 영향을 끼쳐 생활물가를 자극하게 된다는 데에 더 큰 문제가 있다. 결국 인플레이션의 현실화라는 것이다. 가뜩이나 경기도 안 좋은 마당에 물가까지 폭등해버리니 살림살이가 퍽퍽해질 것이 뻔하다.

 

인플레이션은 참으로 무섭다. 그 누가 돌반지 하나를 20만원 넘게 주고 사야할 것이라는 것을 10여 년 전에는 알았을까.. 이렇듯 가장 피부로 생생하게 접하고 느낄 수 있는 인플레의 시대를 우리가 지금 살고 있다.

 

경제는 심리라는 말이 있다. 심리가 움츠려 들면 소비가 말라붙고 공격적인 투자도 기대하기 힘들다. 전반적인 경제활동이 침체기라는 것이다. 이런 시기에는 유동화하기 어려운 부동산 투자나 리스크가 큰 주식시장의 투자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세상이 그렇게 돌아가면 투자도 그에 맞게 바뀌어 가야 하는 것이다. 시대상황에 맞는 발 빠른 진화는 재테크의 성공여부를 판가름하는 초석이 아닐까 싶다.

 

관심을 끌 만한 몇 가지 분야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농산물 투자이다.

한동안 금투자가 유행하기도 했었는데 금은 실물 투자라기보다는 환테크의 카테고리로 보는게 나을 듯 하다. 금은 달러와 연동성이 크기 때문에 환율의 방향성에 대한 정확한 관점이 없다면 개인들이 투자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지 않는다. 하지만 먹는 문제 즉 농산물 투자는 인식에 있어서 금투자와는 좀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더군다나 요즘 국제곡물시장의 상황을 보면 인간의 가장 기초욕구인 식()의 문제를 투자의 대상으로 삼을 수 밖에 없을 만큼 움직임이 상당히 가파르다.

 

아래의 챠트는 최근 급등을 보이고 있는 밀가격이다.

급등하는 밀 가격

 

 

상품투자의 귀재라는 짐 로저스(Jim Rogers)는 상품 가격 급등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으니 금이나 농산물 펀드에 미리 투자하라며 친절한 가이드까지 한다. 그는 농산물과 곡물가의 급등으로 인한 에그플레이션에 대한 깊은 우려를 하고 있다.

 

곡물가의 급등 특히 밀의 급등이 실질물가에 반영되는 비율은 상당히 높다고 봐야 한다. 당장 자장면이나 빵 같은 식료품의 가격인상은 충분히 예견이 되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농산물 투자 시 유의할 점이 있다. 

 

작황상황이나 기후변화에 큰 관심을 두고 있어야 한다. 과거에 발표된 여러 보고서에 의하면 커피나 밀 옥수수 같은 곡물류는 자연주기와 기후변화에 의해서 풍작과 흉작을 수 년() 주기로 반복하는 사이클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다소 생소하고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시장이 상품시장이지만 의외로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투자의 대안으로 삼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좋건 싫건 인플레의 시대를 살고 있는 이상 인플레 헤지에 일정부분 자산포트폴리오를 할당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격언에 보유주식 종목수만 잔뜩 늘려놓는 희안한 포트폴리오가 아니라 지구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변화에 눈과 귀를 열고 투자의 스펙트럼을 넓히려는 다양한 투자가 요구되는 시점이 아닐까 싶다. 이에 따른 투자상품 개발과 홍보 그리고 진정성과 객관성을 담보로 한 리포트들이 많이 나와 주길 바래본다. 또한 투자자 자신도 새로운 투자개척분야 대한 진지한 관심과 연구의 자세가 필요하다.

 

*상기 글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입니다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아이엠리치(www.ImRICH.co.kr) / 비앤아이에프엔 kempis ]

 

 

농산물 투자 펀드 바로가기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