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이사를 왔는데 이 동네 엄마들은 다들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아이들 학원도 훨씬 많이 보냅니다. 우리 아이도 뒤처지지 않으려면 다른 엄마들만큼은 시켜야할 것 같은데 아직 대출이 많이 남아서 교육비를 늘리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신문에서 투표율이 높을 것이라는 기사가 나오면 평소에 투표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도 ‘이번에는 투표를 해야겠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여론조사결과 특정 후보의 지지율이 높다는 기사가 나오면 부동층의 표가 지지율이 높은 쪽으로 기웁니다. 이처럼 평소의 자신의 판단과는 다른 판단을 내리거나 판단을 요구하는 어떤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결론을 내리는 것을 심리학에서 동조현상이라고 합니다.
동조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정보의 영향입니다. 무자퍼 세리프라는 심리학자의 실험에 의하면 사람에게는 애매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려야 될 때 다른 사람들의 결정을 참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자신의 판단에 자신이 없을 때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판단에 동조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입니다. 낯선 곳에서 맛있는 식당을 찾을 때 사람이 많이 붐비는 식당을 찾게 되는 것도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두 번째는 규범적 영향입니다. 보통의 사람이라면 어떤 집단의 의견이 자신의 의견과 맞지 않더라도 따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심리학자 솔로몬 애시의 실험으로 증명이 되었습니다. 선의 길이를 묻는 단순한 질문에서 앞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가 틀린 답을 대답했더니 마지막 사람도 똑같이 틀린 답을 대답했다고 합니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처럼 굳이 다른 의견을 내서 사회적인 압력이나 집단의 비난을 마주하지 않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평소에 짬뽕을 좋아하는 사람도 주위 사람들이 모두 짜장면을 주문하면 똑같이 짜장면을 주문하게 됩니다.
이런 동조현상은 가정의 재무상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옆 집 엄마가 학원을 보낸다고 자녀의 필요와는 상관없이 학원을 보내면서 교육비를 늘립니다. 남들도 다 빚내서 집을 산다며 몇 억의 빛도 대수롭지 않게 여깁니다. 많은 가정이 이처럼 동조현상에 빠져서 문제를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건전한 재무상태를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영향을 받아서 가정의 재무상태가 왜곡되지 않도록 가정의 재무원칙을 수립하고 원칙에 어긋난 것은 없는지 꾸준히 점검해야 합니다.
사회적기업 에듀머니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