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중국이야? 아니 지난주까지 얘네 괜찮다며? 앞으로 끝없는 상승이라며?”
지난 6월 29일 국내 주식시장이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 우려로 크게 하락하면서 이런 볼멘 소리가 여기 저기서 들렸다.
여기에 ‘중국’이란 단어 대신에 ‘그리스’,’스페인’,’남유럽’,’미국’,’일본’….이란 단어만 바뀌면서 아침 출근길의 뉴스란을 장식하는 것이 요즘의 투자시장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에 살면서 평범하게 직장다니는 사람이 한달에 몇 십 만원 중국이나 유럽,선진국 펀드에 가입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사람이 본인이 가입한 펀드상품이 투자하는 구체적인 지역과 종목에 대해서 얼마나 자세히 알고 또 그 나라의 시장 분위기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있을까?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얘기가 아닐까 싶다.미국에서 MBA를 취득하고 오랜 기간 주식시장에서 애널리스트나 펀드 매니져 일을 하는 사람들도 제대로 파악하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그래서 그들이 가장 많이 쓰는 표현이 ‘돌발변수’,’예기치 않은 악재’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필자가 굳이 주식 전문가들을 폄하하거나 깎아 내릴 생각은 없다.다만 그래도 일반인들 보다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도 이럴진데 일반인들의 투명하고 명쾌하고 앞날을 바라보는 투자가 가당키나 하겠는가 말이다.
받아들이자…..
그냥 투자를 함에 있어서 안정성,수익성,유동성외에 불확실성을 아예 투자 요소에 편입시켜 버리자.
얼마전 LG경제연구소에서는 자체 연구보고서를 통해서 불확실성에 대해서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불확실성(Uncertainty)은 리스크(Risk)와 함께 막연한 불안감을 의미하는 일반명사처럼 쓰이기도 하지만 경제학적으로는 엄밀하게 구별되고 있다.
케인즈와 동시대의 경제학자인 나이트(Frank Hyneman Knight)에 의해 처음으로 정의된 불확실성은 발생확률분포(發生確率分布)를 알 수 없는 위험을 가리킨다. 반면, 리스크는 교통사고나 질병 등 그 발생확률분포를 일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보험을 설계하는 등의 방법으로 어느 정도 대처가 가능하다.
(이미지제공 : Gettyimages.com)
불확실성이 인식될 경우 기업은 최악의 사태를 예상해서 행동하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면, 작년에 리먼브러더즈가 파산하자 글로벌 은행 간 자금 거래 시장에서는 거래 상대의 부도를 우려하여 아무도 자금을 공급하지 않는 자금경색이 발생하였고 기업들도 재고나 고용을 선행적으로 감축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수요를 더욱 위축시키고 자산 가격의 하락을 부채질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될 경우 최근의 경우와 같이 정부가 나서서 시장을 안정화시킬 필요성이 발생한다.
즉 리스크(RISK)는 발생확률분포가 일정해서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하지만 불확실성은 이 발생확률분포가 없다는 것이다.흔히 투자에 있어서 목표 수익률을 정하라고 얘기들 한다.
그 목표 수익률에서 적어도 20%는 불확실성을 감안해야 한다.애당초 15%의 목표수익률을 잡았으면 최소한 3%내외는 불확실성을 감안한 ‘+’와 ‘–‘ 의 목표 수익률 가감을 해야 하겠고 ‘+’ 보다는 ‘-‘쪽에 비중을 두어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하겠다.
아직까지도 남유럽사태,미국의 재정위기의 진행과 중국의 속시원한 투자가치를 우리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머니닥터 : 서기수 (HB Partners 대표이사)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