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값 상승세가 한창이던 2006년 여름. A씨는 좀 더 큰 평수의 아파트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18평짜리 아파트를 하나 소유하고 있었지만 오름세가 신통치 않았기 때문이다. 역시 30평은 되어야 집 값이 잘 오를꺼란 판단에 집 값의 2/3나 대출을 끼고 집을 샀다. 처음에는 2억이나 되는 부채가 부담스러웠지만 지금은 마냥 뿌듯하다. 최근 하락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집 값이 1억원 넘게 올랐기 때문이다. 역시 대한민국에서 부자로 살려면 부동산 밖에 없다면서 이제는 서울에 있는 아파트로 진입하기 위해서 부지런히 뛰어다닌다. 부동산 가격 하락에 대한 기사들이 많이 나오지만 가격이 떨어졌을 때가 매입 기회라고 생각한다. 일년에 1000만원 저축하기도 힘든 세상에서 집 하나 잘 사서 1억을 벌었으니 역시 대한민국에서 부자가 되려면 부동산 밖에 없다고 , 돈이 돈을 번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에서 부동산에 대한 믿음은 ‘부동산 불패 신화’로 불릴 정도로 절대적이다. 부동산은 언제나 안전하다는 믿음, 부동산 투자의 수익이 가장 좋다는 믿음, 물가가 오르면 부동산도 오른다는 믿음들이 모여서 부자가 되려면 부동산 밖에 없다는 믿음으로 발전했다. 이런 믿음이 있었기에 막연히 투자수익만 기대하고 위험이나 비용에 대해서는 생각지 않고 너도나도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 수 있었다. 이러한 믿음이 부동산을 보유하고 나서 현실화가 되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을 해서 자산가치가 높아졌는지는 모르나 부자로서 살지는 못 한다. 소득도 그대로고, 집이 하나인 것도 그대로다. 때론 세주고 더 좁은 집에서 살기도 한다. 통장에 들어있는 돈은 빚 갚느라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다만 올라간 자산 가치 때문에 부자가 되었다고 착각할 뿐이다.
내 자산의 가치가 1억이나 오른 것은 분명 기분 좋은 일이다. 맞벌이 해봐야 1년에 2000만원 모으기도 힘들다는 세상에서 집으로 인해 3년만에 1억이 생겼으니 마음이 들뜨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그 들뜬 마음이 현실 속에서 오류를 낳고 만다. 단지 집 값이 올랐을 뿐이다. 내 집 값만 오른 것도 아니기에 차익실현을 해서 남은 돈을 통장 속에 넣어둘 수도 없다.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난 것도 아닌데 돈 벌었다는 생각에 쓰는 돈을 늘린다.
A씨 가정도 마찬가지다. 집 값이 올랐다고 그동안 타고 다니던 차를 매각하고 외제차를 장만했다. 부부가 같이 골프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주말이면 외제차를 타고 교외로 나간다. 그러는 사이 담보대출 말고도 마이너스 통장, 퇴직금담보대출, 약관대출이 새로 생겼다. 이런 상황에서도 주변에 개발호재가 있어서 집 값은 앞으로 더 오를 것이라며 부채가 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방관한다. 집 값만 오르면 다 해결될 거란 생각이다.
현실을 냉정히 따져보자. 집 값이 오르기는 했지만 그동안 냈던 이자만 4000만원이 넘는다. 아파트 구입으로 인한 취/등록세, 재산세, 중개수수료, 이사비용, 인테리어비용 등을 합하면 2000만원이 넘는다. 게다가 구입당시의 담보대출 2억원으로 인해 400만원 소득에 대출이자로만 매월 100만원 넘게 지출되다보니 생활비가 부족해 마이너스통장을 끌어 쓸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었다. 주택 구입 이후 새로 생긴 부채만 6000만원이다. 오른 집 값보다 더 큰 비용을 치르고 있는 것이다. 돈이 돈을 버는 환상을 좇다가 돈을 벌기는커녕 빚이 빚을 내는 현실에 몰린 것이다.
남은 직장생활 7년, 남은 부채상환 기간 17년
부동산 매입으로 인한 부채는 흔히들 강제저축이라고 생각을 한다. 빚이 있으면 빚을 갚기 위해 생활비도 아껴쓰게 되고 빚을 갚는 돈은 차곡차곡 내 집에 쌓이는 돈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억단위의 대출에 대해서 큰 위기의식이 없다. A씨의 경우에도 2억이라는 대출금은 큰 돈이지만 100만원이라는 이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돈이기에 대출을 쉽게 결정했다. 그리고 20년간 부채를 갚게 될 거란 생각은 하지 않는다.
그런데 43세인 A씨의 남편의 직장 생활이 점점 불안해지고 있다. 2억 6000만원의 빚이 있지만 직장 생활은 길어야 7년이다. 빚을 갚으려면 앞으로 남은 연봉을 모두 빚 갚는데만 써야할 판이다. 당연히 이는 불가능하다. 지금도 생활비가 부족해서 마이너스 통장 없이는 생활이 안 되는데 앞으로 지출은 점점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비만 하더라도 초등학교 6학년과 5학년인 아이들이 자라면서 의무교육인 중학교까지는 어떻게든 버틸 수 있겠지만 고등학교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등록금과 육성회비, 보충수업비, 교재비, 급식비 등 공교육에 드는 비용만 해도 월평균 50만원 가까이 된다. 이 시기가 3년도 채 남지 않았다. 아이들 대학자금 마련은 꿈도 못 꾼다. 이쯤 되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떨어지고의 문제가 아니다. 당장의 삶이 걸린 문제다.
A씨의 집 값은 앞으로 더 오를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수억원을 버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치러야 하는 댓가는 너무나도 소중한 일상이다. 더구나 그 누구도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혹시라도 가격이 떨어진다면? 민씨의 자녀들은 급식비도 밀려서 학교 다니면서 아이들의 눈치를 봐야하고 대학에 가서는 자신들의 등록금과 용돈 뿐만 아니라 퇴직한 아버지로 인해서 가정의 생활비까지 벌어야하는 현실에 놓이게 된다. 거기에 빚도 갚아야 한다.
부동산으로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심부터 접어야한다. 돈이란 건 쓸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부자는 자산이 많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현금흐름이 좋아야 한다. 자산이 얼마건 간에 한 달 한 달의 현금흐름에서 마이너스가 없어야한다. 그런데 부동산 부자가 되보겠다고 엄청난 빚을 끌어쓰다가는 결국 은행의 노예가 되어 남은 생애소득을 부동산에 올인해야 한다. 부동산을 통해 부자가 되겠다는 욕심만 버리면 된다. 큰 돈을 버는 것보다 가정의 소중한 일상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사회적기업 에듀머니
박 종 호
------------------------------------------------------------------------------------------
사회적 기업 에듀머니는 돈으로 부터 자유로워지고 행복해지는 방법을 나누어 드립니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