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에듀머니칼럼] 오래 사는 것이 끔찍하십니까?[11]
추천 0 | 조회 17129 | 번호 2011 | 2010.06.18 14:50 에듀머니 (edu7***)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 수명이 80세를 넘어섰다고 한다. 오래 살게 된 일은 반가운 일이어야 할 텐데 이상하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발표를 접하고는 공포심을 갖는다. 오래 사는 것에 대해서 끔찍하다고 생각하고 일찍 죽어야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심심찮게 보게 된다.

 

오래 살아야 하는데 경제적 자신감이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오래 사는 것 자체가 싫다기보다는 돈이 없어 밥도 제대로 못 먹으면서 살게될까봐 오래사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제적 자신감을 위협하는 배경에 금융회사들의 공포마케팅에 의한 위협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60세에 은퇴해서 짜장면만 먹고 살아도 10억은 필요하다는 등의 이야기가 대표적일 것이다. 이런 공포마케팅에 의해 노후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돈 문제가 되어버렸다. 한 달에 연금으로 100만원씩은 넣어야 노후에 짜장면이라도 먹고 살텐데 거의 대부분의 사람한테 이건 불가능한 이야기다.

 

무려 20년 이상을 일도 없이 살아야 하며 그 긴 시간을 최소의 생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금이 몇 억은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미래가 끔찍하지 않을 사람은 없다. 버는 돈만으로는 수억원의 노후자금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니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재테크로 고수익을 챙겨야 한다는 강박증이 생길만하다. 이것을 금융회사에서는 십분활용해 대중의 공포심을 보험과 펀드, 고수익 투자로 뛰어넘을 것을 조언한다.

 

반대로 미국의 시빅 벤처스 대표인 마크 프리드먼은 노후를 위해 앙코르 커리어를 제안한다. 지속적인 수입원, 개인적인 의미 추구, 사회적 영향력등을 갖는 후반전 일자리를 준비하라는 조언이다. 혹자는 젊어서도 일자리 갖는 것이 쉽지 않은데 노후에 앙코르 커리어가 현실적인 조언이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몇 억이상을 준비하기 위해 빚을 내가며 재테크하는 것에 비하면 대단히 현실적인 조언일뿐 아니라 인구의 20~30%가 노인이 되는 고령화시대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제안이다. 몇 억은 커녕 지난 몇 년간 불어닥친 재테크 결과로 지금의 30대 40대는 빚 없이 은퇴하기도 어렵게 되었다. 현재 갖고 있는 보험 조차도 유지하기 어려운 마이너스 현금흐름 상태인 사람도 많다. 이제는 갖고 있는 자산만으로 일하지 않는 노후를 이야기하는 것만큼 비현실적인 것은 없다. 설사 자산이 있다하더라도 다가올 평균수명 100세시대에 60세 은퇴해서 40년동안 놀기만 하라는 것 역시 비현실적이다.

 

마크 프리드먼은 여론 조사를 통해 미국에서 노인 근로자들은 이미 '앙코르 커리어'를 훌륭히 수행해 내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노후에는 대기업의 높은 연봉을 받는 것과 같은 좁은 문의 취업 전쟁에 뛰어 들 필요가 없다. 자녀의 경제적 독립으로 많은 돈을 벌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금융회사에서 노후 필요자금으로 이야기하는 몇 억도 실상은 매월 생활자금으로 쪼개 환산해 보면 100만원 수준밖에 안 되는 돈이다. 더구나 이 돈에서 상당금액은 지금 넣고 있는 국민연금을 통해서 받게 된다.

 

 매월 필요한 돈을 한꺼번에 쌓아놓고 매월 조금씩 꺼내쓰라는 그들의 조언은 속을 잘 들여다 보면 대단히 황당한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 많은 돈을 벌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지금이라도 직업 선택의 폭은 넓어질 수 있다. 고령화를 앞둔 지금 일하지 않는 미래에 저당잡혀 아슬아슬한 재테크와 과도한 보험료에 시달리는 현실과 일하는 자유를 위한 희망의 노후 준비, 어떤 선택이 현명한 것일까?

 

 

- 사회적 기업 에듀머니-

 

 

    사회적 기업 에듀머니는 돈으로 부터 자유롭고 행복해지는 방법을 나누며,

    모두가 함께 행복한 경제를 꿈꿉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