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최저생계비 이상의 노후준비는 하고 있나?
추천 0 | 조회 2308 | 번호 2009 | 2010.06.18 09:45 금융 (finance1.***)

[아이엠리치]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최저생계비이다. 만약 노후에 최저생계비로 살아갈 수 밖에 없거나 최저생계비 조차 없다면 얼마나 삶이 막막해질까?

 

통계청의 2010 1/4분기 가계동향에 의하면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372 9,000원이고 보건복지가족부의 2인 가구 월 최저생계비는 85 8,747원이다. 은퇴 이후 만약 현재소득의 36.5%인 최저생계비로만 살아가야 한다면 여행은 고사하고, 또다시 일자리를 구하러 다녀야 할지도 모른다. 인생 2막이 단지 경제적인 고통 때문에 자유롭고 풍족하지 못하다.

 

누구든 노후에 최저생계비정도로 근근이 살아가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은행 2009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74.4%가 은퇴준비를 전혀 하고 있지 않으며 50(16.4%)에 이르러서야 노후준비를 한다. 심지어 60대에 은퇴준비를 하는 사람이 4.2%에 이를 정도로 노후준비가 부실하다.

 

 

삼성생명의 2010년 은퇴준비에 대한 조사 자료에 의하면 일부 실행한다는 사람이 45.5%이고 생각 중이라는 사람이 33%이다.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사람 7.4%를 포함하면 무려 85.9%가 노후가 부실하거나 미흡하다.

 

 

마음은 있는데 한정된 돈 때문에 주택마련, 자녀교육 등에 우선순위에 밀려 차일피일 하다 노후를 맞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제 당신은 노후에 최저생계비 이상의 은퇴자금을 만들 수 있는지 냉정하게 따져 봐야 한다.

 

예로 설명해 보자.

 

가령 지금 30세인 사람이 월 최저생계비 85 8,747원을 60세에 받는다고 하면, 물가상승률 3%로 가정할 때 60세 때의 월 최저생계비는 208 4,000(이하 백원 미만 절사)이다. 1년 동안 필요한 생활비는 60세 시점에 그 당시 돈으로 2,501 3,000원이 된다. 따라서 60세에 3 8,923 8,000원이 있으면 매년 6% 수익만 올려도 80세까지 원금과 이자로 살아갈 수 있다.

 

이는 30세가 매월 38 7,000원씩 30년 동안 한 달도 빠짐없이 저축하고 매년 6%의 복리 수익을 올리면 가능한 금액이다.

 

반면 지금 40세라면 60세에 2 8783 7,000원을 마련해야 하고 6%의 복리 수익을 기대하며 매월 61 5,000원을 노후를 위해 저축해야 한다.  50세는 이보다 많은 127 8,000원을 매월 저축해야 한다.

 

 

* 기준: 2인 기준 월 최저생계비: 858,747

* 월 저축액: 6% 복리로 산정

* 필요일시자금: 80세까지 산다는 가정하에 60세의 일시금

               - 6% 복리로 투자, 물가상승률 3% 감안 , 80세 자금 0원으로 계산

자료: 비앤아이에프앤 재정컨설팅 센터

 

노후준비는 늦게 시작하면 할 수록 돈도 많이 들고 만족할 만한 인생2막을 열어갈 수 없다. 당장 가정에서 노후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개인연금, 국민연금의 불입금과 적립금을 따져보고 과연 노후에 최저생계비 이상의 노후자금을 만들 수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노후의 현금유동성 자금이 최저생계비조차 마련할 수 없다면 차일피일 미루지 말고 당장 은퇴 이후를 위해 은퇴자금 만들기에 투자를 해야 한다.

 

노후에 최저생계비가 해결되었다고 만족할 필요도 없다. 최저생계비는 그저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삶을 유지해 줄 뿐이다. 노후에 부부가 1년에 한번 먼 곳으로 여행을 가고 경조사비나 의료비 걱정하지 않으며 손자나 손녀에게 용돈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풍족한 은퇴생활이 되려면 최저생계비의 최소 2배 이상이 필요하다. 젊었을 때부터 적은 돈으로 착실히 노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풍족한 노후를 위한 기준

 

1. 노후준비는 빠를수록 좋다.

 

노후준비는 6년을 빨리 시작하면 6년 후에 시작하는 것에 비해 매월 절반의 금액만으로도 30년 후에 같은 자금을 만들 수 있다. 최대한 일찍 시작해야만 적은 돈으로 목적하는 자금을 만들 수 있다.

 

2. 시간이 해결해 준다.

 

복리 효과는 장기간일 때 발생한다. 처음 몇 년간은 단리와 복리의 차이가 없지만 일정시점이 지나고 나면 복리의 효과에 의해 자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난다.

 

3. 물가상승률을 이겨야 한다.

 

화폐의 가치는 매년 물가상승률 만큼 감소된다. 지금의 돈보다 미래의 돈의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최소한 물가상승률 보다 높은 수익률 달성하는 저축과 투자를 해야만 목적한 풍족한 노후가 기다린다.

 

[아이엠리치(www.ImRICH.co.kr) 김석한 칼럼니스트 / 비앤아이에프엔 대표컨설턴트 http://blog.naver.com/bebest79, http://twitter.com/bebest79]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