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가계부클리닉] 지출통장, 3개로 나눠서 관리하세요.[2]
추천 0 | 조회 12306 | 번호 1986 | 2010.06.04 12:11 에듀머니 (edu7***)

 얼마전부터 가계부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매달 예산을 세워보지만 결산을 해보면 늘 예산금액을 훨씬 초과해서 지출합니다. 어떻게 하면 새는 돈 없이 예산에 맞춰서 돈 쓰는 생활을 할 수 있을까요?


돈을 아껴써야겠다는 생각은 많이 하지만 막상 생각대로 돈을 쓰기는 쉽지 않습니다. 소비에 대한 유혹이 넘쳐나고 돈을 쓰는 것이 너무나도 편리한 세상에서 절약은 의지만 가지고는 되지 않습니다. 돈을 제대로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 번째, 신용카드로 인한 지출을 체크카드로 바꿔야 합니다. 신용카드로 돈을 쓰다보면 통장의 남은 잔액에 맞춰서 쓰기보다는 신용카드 한도에 맞춰서 돈을 쓰게 됩니다. 자연스레 처음에 세웠던 예산 외의 지출이 생겨날 수 밖에 없습니다.

 

 두 번째, 지출통장을 여러개로 나눠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급여통장 하나로 지출관리를 합니다. 한 통장에 각종 결제금, 저축, 현금인출 등이 섞여있게 되면 통장정리를 하더라도 돈의 흐름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아  돈 관리를 어렵게 합니다. 따라서 지출유형별로 통장을 나눌 필요가 있습니다.

 

 지출 유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공과금, 통신비, 보험료, 교육비, 대출이자 등 한 달에 한 번 돈을 쓰게 되는 월1회성 지출과 식비, 외식비, 문화생활비 등 수시로 돈을 쓰는 수시지출, 자동차보험료, 경조사비 등의 비정기지출이 바로 그것입니다.

 

지출 유형별로 3개의 통장에 각각의 예산을 넣어서 사용한다면 예산에 맞게 지출을 통제하기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3개의 통장을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월1회성 지출은 대부분 급여계좌에서 자동이체로 빠져나가는 항목들입니다. 따라서 급여 통장을 그대로 활용하시되 자동이체일자를 급여일로부터 5~10일 이내로 통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남는 자금으로 한 달 생활비를 쓸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생활비를 쓰다가 돈이 없어서 결제대금이 연체되는 일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수시지출은 별도의 통장에 체크카드를 연결해놓고 사용합니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수시지출 통장에는 한 달 예산이 아닌 일주일 예산을 넣어두고 써야한다는 점입니다. 수시로 쓰는 돈의 경우 한 달동안의 지출을 정확히 배분해서 쓰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한 달 예산을 한꺼번에 넣어두게 되면 며칠 지나지 않아 통장 잔고가 바닥나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주일 단위의 돈 관리는 기간이 짧기 때문에 관리를 훨씬 용이하게 합니다. 또한 수시지출통장의 경우 현금을 인출해서 사용하는 일도 종종 발생하므로 가급적 현금인출 수수료가 면제되는 통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비정기지출의 경우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돈이 아니다 보니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무심코 돈을 많이 쓰게 됩니다. 게다가 생활비하면 식비, 공과금 등 매달 나가는 지출만 생활비라고 생각하기에 비정기지출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돈이 새나가고 자칫 빚이 생길 우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예산을 세울 때 가족이벤트나 경조사, 또는 별도의 목돈 지출이 없는지 미리 계획해서 비정기지출 통장에 따로 떼어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기업 에듀머니는 돈으로 부터 행복해지고 자유로워지는 방법을 나누어드립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