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럽 재정위기, 전 세계 증시 폭락하다!”
“펀드, 지금이라도 환매해야 하나요?”
[아이엠리치]2008년 하반기 미국발 금융위기가 세계를 강타한지 채 2년이 안되 남유럽발 재정위기가 터졌다. 이 때문에 전 세계 증시가 연일 급락했다.
우리나라 코스피도 5월 초 4일 동안 약100p 급락을 경험했고 더 빠질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2년 전의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며칠 전 만난 지인 H씨도 2007년에 가입한 중국펀드를 지금이라도 환매해야 하느냐고 물어오는가 하면 ‘삼성전자 목표주가 100만원’이라는 소리 나오면 그때가 고점이라는 사람도 있다. 또 더블딥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는 이도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나치게 부정적인 마인드를 가진 사람은 투자에 성공할 수 없다. 부정적인 마인드는 혼란을 합리화하고 투자의 타이밍을 놓치기 쉽기 때문이다. 설령 시장이 하락추세로 전환한다고 해도 긍정적인 마인드와 희망을 가진 사람만이 성공할 수 있다.
최근 1년간 펀드환매가 많았다. 금년 국내 주식형펀드만 해도 무려 5조 정도의 환매가 있었다. 심지어는 펀드런을 예상하는 이도 있었다. 하지만 그런 말에 너무 집착하면 좋은 투자의 기회도 놓치기 십상이다. 신문기사에 의하면 4월말 기준 이미 코스피 1500~1600p에서 82%가 환매, 1600~1700p에서 102% 환매, 1700~1800p에서 60%가 환매 했다고 한다.
지난 1년 정도 펀드환매가 지속되어 온 것이다. 그래서 오히려 펀드런의 가능성은 적다.
또 더블딥과 같은 큰 위험도 적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큰 위험은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지금은 우리가 부딪치고 있는 위험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고 있고,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정부는 정부대로 재정건전성을 위해 힘쓰고, 개인은 개인대로 위험자산을 줄이고 안전자산을 늘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더블딥이 오기 어렵다. 설령 온다고 해도 그 충격이 예상보다 적을 것이므로 두려워할 일이 아니다. 진짜 큰 위험은 예상하지 못한 일이 급작스럽게 왔을 때다. 그런데 지금은 모두 알고 있다. 위험을 이미 알고 있고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모두 노력하고 있다.
사실 펀드런이나 더블딥은 그 위험의 크기보다는 사람의 ‘심리’ 때문에 일어난다. 불안한 심리, 벗어나고 싶은 심리, 더 깨지지 않고자 하는 심리 등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심리가 객관적인 위험보다 더 큰 위험을 야기한다. 그래서 부정적인 마인드를 가진 사람은 투자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마치 ‘시소위의 원숭이들 우화’와 같은 결과를 내게 되는 것이다.
중국펀드에서 손실을 보고 있다고 지금 환매하는 것은 불안한 심리 때문이다. 더 손실이 커질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부정적인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다. 중국시장과 상관없이 중국펀드 환매자가 늘어나면 날수록 환매에 대한 파급효과는 커진다. 그러한 사람들은 중국시장과 상관없이 덩달아 환매에 동참한다. 마치 시소위의 원숭이들이 한쪽으로 몰리는 것처럼.... 이러한 행동은 바로 ‘심리’를 다스리지 못해서이다.
펀드런, 더블딥, 부동산폭락 등 지나치게 극단적인 상황을 강조하는 사람은 어쩌면 ‘정의를 가장한 질투’일지도 모른다. 시장은 상승추세가 영원한 것도 아니고 하락추세가 영원한 것도 아니다. 어느 정도 상승하면 하락하기 마련이고, 어느 정도 하락하면 상승하기 마련.
그것이 세상의 이치이고 투자도 그 이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하락이 있는 것도 당연한 것이고, 그로 인해 손해를 보는 것도 당연하다. 부정적인 사람은 하락할 때 불안한 심리 때문에 실패하고, 긍정적인 사람은 하락할 때 오히려 다음을 준비하는 여유 때문에 성공한다.
필자는 펀드 환매시점에 대하여 기준이 없는 분들에게 관련지수의 1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삼으라고 말한다. 예컨대 국내주식형펀드라면 120일 이동평균선이 무너지지 않는 한 유지하고, 무너지면 환매관점으로 보라고 권합니다. 120일 이동평균선은 ‘경기선’이라고 일컬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120일 이동평균선이 무너진 지 한참 되어버렸다면 어찌할까? 늦게라도 환매하는 것이 나을까? 그대로 두는 것이 나을까?
필자라면 그냥 둔다. 뒤늦은 환매보다는 다음 사이클이 올 때까지 기다리면서 여유자금이 생긴다면 상승추세로 전환시 추가투자로 대응하는 편이 낫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 때까지는 남의 말에 흔들릴 것이 아니라 내 본연의 일에만 충실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내 기준이 절대 옳은 것도 아니고 사람마다 다르다. 하지만 자기만의 기준이 있으면 최소한 펀드런, 더블딥과 같은 공포스러운 말을 누군가 지껄일 때 ‘불안심리’에 휩싸이진 않는다.
심리를 다스리려면 자기기준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상승할 때의 시나리오 뿐 아니라 하락할 때의 시나리오도 만들어야 한다. 특별한 기법이나 양식이 있을 필요도 없다. 예를 들자면 ‘코스피 120일 이동평균시 상향 돌파시 주식형펀드 비중 높인다.’ 혹은 ‘지금은 하락추세이니 120일 이동평균선 하향 돌파시 코스피 1400p까지 내려가지 않는 한 주식투자 안한다.’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준과 시나리오가 있는 투자자와 없는 투자자는 분명히 결과도 다르다.
[아이엠리치(www.ImRICH.co.kr)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