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 계획 세우기
1. 무작정 따라하기 – 중급편: 예산세우기 (미혼편/기혼편 참고하여)
2. 우선, 돈 쓸 일을 파악합니다 – 소비/지출에서도 우선 순위를 정합니다.
3. 저축 계획 세우기
1) 예산을 세우고 나면, 저축을 해야 할 항목들이 나옵니다.
|
미혼편 |
기혼편 |
|
자기계발 |
비상금 |
|
비상금 |
주거자금 |
|
결혼자금 |
교육자금 |
|
주거 |
가족 대소사 자금 |
|
차량구입 |
창업/이모작 자금 |
|
이벤트 |
이벤트 자금 |
|
경조사비 |
노후 자금 |
2)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선 미혼편과 기혼편의 예산 세우기를 인용해 보면, 위와 같습니다.
모든 항목들에 대해서 각각 저축을 시작하면 좋지만, 소득은 한정되어 있고, 그 안에서
지출도 하고, 저축도 해야 합니다.
3) 지출 조정을 통해 적정한 소비 예산을 세운 후, 안 쓰면 안 되는 항목 등을 조절하고 나서,
구체적인 저축 목표를 세웁니다. 위의 예산에 대해서 계획을 세우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혼편 기간/저축액 상품 |
기혼편 |
기간/저축액/상품 | ||||
|
0순위 |
자기계발 |
1년/100,000원 |
|
0순위 |
비상금 |
1년/100,000원 |
|
1순위 |
비상금 |
1년/100,000원 |
|
1순위 |
가족 대소사 자금 |
8개월/50,000원 |
|
2순위 |
결혼자금 |
3년/100,000원 |
|
2순위 |
교육 자금 |
10년/100,000원 |
|
3순위 |
주거비 |
7년/100,000원 |
|
3순위 |
노후 자금 |
30년/70,000원 |
|
4순위 |
경조사비 |
6개월/30,000원 |
|
4순위 |
이모작 자금 |
15년/100,000원 |
|
|
|
|
|
5순위 |
… |
|
|
|
|
|
|
|
|
|
4) 상품은
->단기) 1년 미만에 써야 하거나 혹은 언제 쓸 지 알 수 없는 돈들은 가능한 단기 저축
(6개월 미만) 혹은 CMA 통장을 권합니다.
중기) 1년 이상 – 5년 미만인 경우, 본인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펀드 혹은 시중 은행
등의 적금 상품을 권해 드립니다.
장기) 최소 7년 이상 그 이후에나 써야 할 돈인 경우에, 역시나 본인의 투자 성향을 고려
하여 저축성 보험이나 펀드 혹은 VUL 상품도 괜찮습니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