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서울 지하도심 도로, 서울 투자 여건 더 높일 듯
추천 0 | 조회 250 | 번호 1778 | 2010.02.25 18:18 금융 (finance1.***)

서울 지하도심 도로, 서울외곽 가격 UP

 

[아이엠리치]서울시는 지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지하 40~60m 깊이에 연장 6 노선, 149㎞의 지하도로망 계획을 얼마 발표했다. 서울시 계확대로라면 지하도로망은 남북 3개축과 동서 3개축의 6 노선으로 구성돼 서울의 지하를 거미줄 교통망으로 연결하게 되어 서울 외곽지역도 부동산 가격 상승압력을 받게 될것이다.

 

 

2017 완공목표인 도로는 서울 도심을 격자형으로 연결하는 연장 149㎞의 지하 대심도 도로로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구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된다. 연장 149㎞로 서울과 인천을 잇는 1경인고속도로( 연장 24) 6배를 조금 넘는 길이다.

 

서울 전역 30분내로 이동

 

우선 서울 도심 지하 도로망 노선을 살펴보면 남북 3 축과 동서간 3 6 노선으로 이뤄진다. 6 노선을 구간별로 보면 남북1축은 시흥~도심~은평(24.5) 남북2축은 양재~한남~도봉(26.3) 남북3축은 세곡~성수~상계(22.8) 동서1축은 상암~도심~중랑(22.3) 동서2축은 신월~도심~강동(22.3) 동서3축은 강서~서초~방이(30.5) 등이다.

양재에서 도심까지 39 소요되던 것이 13~15분으로 단축되고 잠실에서 상암동까지도 1시간에서 25~30분으로 줄어드는 서울 전역을 30분대에 이동할 있을 것으로 보임에 따라 외곽지역 토지와 주택,상가 시장도 상승세가 예고된다 

 

외곽보다는 서울도심부 투자가 유효

 

이명박정권 취임이후 서울 도심,용산과 강남권을 중심으로 용적율 상향을 통한 재개발 재건축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저성장시대에 부동산 투자는 지방보다는 수도권 , 수도권 보다는 서울, 서울중에서도 업무지구가 밀집된 강남권과 여의도와 용산.뚝섬을 중심으로한 도심부 투자가 유망해 보인다.

 

[박상언 유엔알 컨설팅 대표(www.youandr.co.kr)]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