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부동산 완전정복] 아파트가격변동을 통해본 투자유망지역(2)-수도권[2]
추천 0 | 조회 7356 | 번호 1553 | 2009.03.17 10:44 금융 (finance1.***)

2006년 가을에 우리는 ‘부동산 가격 폭등’이라는 소식을 언론을 통해서 많이 들어왔고, 작년 이후에는 반대로 ‘00지역 아파트 가격 하락’이라는 소식을 자주 접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 실제 아파트 가격이 전체적으로 그만큼 하락한 것일까? 아니면 일부 지역만 하락한 것일까?

 

지난 1년간 신도시 아파트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고전을 면치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신도시 간, 신도시 내에서도 지역별로 많은 차이가 있다. 경기 침체가 본격화된 지난 1년간 경기도 몇몇 지역별 아파트 가격 변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분당신도시 지역별 1년간 아파트 가격 변동> (자료 : 부동산랜드, 단위 : 만원)


지역

현재 평당가격

1년 전

변동액

변동률(%)

분당신도시 평균

1,770

2,007

238

11.8

구미동

1,506

1,683

▼ 177

▼ 10.5

금곡동

1,670

1,915

▼ 244

▼ 12.8

분당동

1,716

1,950

▼ 235

▼ 12

서현동

1,878

2,057

▼ 179

▼ 8.7

수내동

1,880

2,180

▼ 300

▼ 13.7

야탑동

1,608

1,832

▼ 224

▼ 12.2

이매동

1,743

2,056

▼ 313

▼ 15.2

정자동

2,155

2,387

▼ 232

▼ 9.7

 

분당신도시 아파트의 1년간 시세 변동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는 약 12% 정도 하락했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동별로  비교해보면 최고 15.2%인 이매동(판교신도시와 가장 가까운 지역)과 최저 8.7%인 서현동은 차이가 큼을 알 수가 있다.


<일산신도시 지역별 1년간 아파트 가격 변동> (자료 : 부동산랜드, 단위 : 만원)

지역

현재 평당가격

1년 전

변동액

변동률(%)

일산동구·서구평균

1,151

1,231

80

6.5

대화동

1,301

1,378

▼ 76

▼ 5.5

마두동

1,444

1,576

▼ 132

▼ 8.4

백석동

1,034

1,033

1

0.1

일산동

1,194

1,219

▼ 25

▼ 2.1

장항동

1,477

1,621

▼ 144

▼ 8.9

주엽동

1,377

1,486

▼ 109

▼ 7.3

(주 : 일산동구·일산서구에는 신도시가 아닌 가좌동, 덕이동, 풍동, 탄현동, 중산동, 식사동 등이 포함되어 있음)

 

일산 지역의 경우 전체적으로 분당신도시에 비해 하락폭이 절반 정도에 불과하고, 중소형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 백석동은 유일하게 가격이 하락하지 않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하락폭은 기존 아파트 가격이 가장 높았던 장항동과 마두동이 큼.

 

<수도권 지역별 1년간 아파트 가격 변동> (자료 : 부동산랜드, 단위 : 만원)


지역

현재 평당가격

1년 전

변동액

변동률(%)

안양시 동안구 평균

1,387

1,504

117

7.8

군포시 평균

1,036

1,007

▲28

▲2.8

부천시 원미구 평균

1,000

994

▲6

▲0.6

용인시 수지구 평균

1,196

1,367

▼170

▼12.4

수원시 영통구 평균

964

1,016

▼52

▼5.1

안산시 단원구 평균

860

839

▲21

▲2.5

 

상기 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수도권 몇몇 지역의 지난 1년간 아파트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용인 지역의 경우 대규모 공급 물량과 중대형 평형이 많아 가격 하락폭이 큰 반면에 중소형 평형 비율이 높고, 기존 아파트 가격이 낮은 곳들은 오히려 소폭이긴 하지만 가격이 상승했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은 지역별·단지별로 편차가 크므로, 상승과 하락을 떠나서 본인이 투자하고자 하는 지역에 계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역별 특성 등을 잘 살펴보는 것이 최선의 투자법임을 다시 한 번 더 명심할 필요가 있다.

 

글쓴이 : 노용환 (노용환 재테크연구소 소장)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