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 경제 상황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투자의 호기'라는 확신을 갖기는 어렵다. 실물경제로 번진 금융위기의 여파가 한치 앞을 가늠할 수 없다면 기존 투자자라도 투자심리는 위축되기 마련.
위기 타개와 경기 부양을 위한 각 국 정부의 지원책과 더불어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의 자구노력이 투자 환경을 개선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지만, 투자자의 투자마인드가 가장 중요한 투자 유발 요인이다.
사람들이 투자를 꺼려하고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사실이 거꾸로 투자의 호기라는 사실을 반증할 수 있다. 어려운 시기에서 빠른 국면전환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이 시점의 투자가 경기침체 이전에 투자했던 수익률 보다 많은 결실을 가져다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머니매거진의 시니어 에디터 월터 업드그레이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중요한 점은 지금 투자에 대한 실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라며 "강세장에서 투자경험을 쌓은 투자자라면 위기관리에 대해 잘못된 방향으로 빠지기 쉽다."고 설명한다.
자신의 여건을 고려해서 투자자가 해야할 일은 리스크가 실제로 존재하며 치명적인지 여부를 알아야 한다. 물론 잘못된 판단이 가져다 줄 부작용의 위험도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주식이나 금융자산은 전반적으로 단지 너무 위험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은퇴를 위한 자산운용이라면 최근 몇년간의 경험에 비추어 볼때 가장 안전한 투자를 고수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투자전략은 원칙이 결여된 과잉반응이라는 것이 업드그레이브의 생각이다. 리스크는 투자의 한 부분이자 인생의 일부이며 리스크를 무시하면 기회도 무시하는 결과를 낳는다. 핵심은 얼마나 많은 리스크를 안고 있으며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 여부다.
지금 이 시점에서 바람직한 투자자의 자세는 위기 상황에서 얻은 교훈을 토대로 중장기적인 의사결정을 내려갈 수 있도록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금융자산 운용의 성공은 투자가 전부가 아니다. 투자는 수익률을 확실하게 측정할 수 없으며 생각하는 방식대로 대상과 성과를 제어할 수도 없다. 하지만 저축은 다르다. 저축을 할수록 얻게 되는 이점이 두가지가 있다. 목표수익률이나 미리 정해둔 규모의 은퇴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무리해서 공격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리고 보다 많은 현금유동성을 확보해 나가면 시장의 침체기에서 발생하는 돌발사태에 대비책이 될 수 있다.
또 단순한 것이 복잡한 것보다 낫다. 복잡한 투자 상품에 돈을 들이거나 난해한 투자전략을 고안해서 수익률을 높이려고 하다가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다. 전자계산기와 소프트웨어 등 투자에 도움이 되는 IT기술의 성과를 충분히 활용할 필요는 있지만 어려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알고리듬만을 전적으로 믿지만 말고 건강한 비판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
투자 전략이 복잡해 질수록 잘못된 결과를 낳을수 있으며, 모니터하고 관리하기가 힘들어 진다. 주식, 채권, 펀드의 단순 조합이 그다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투자에서는 기본 원칙과 상식이 통할 가능성이 높다.
판단이 틀릴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며 호경기와 불경기, 강세장과 약세장에서 일희일비않고 평상심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한다.
경제상황이 좋고 마켓 실적이 좋은 국면이라면 흥분감은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기 쉽다. 두 자릿수의 수익률의 펀드와 연일 신문 경제면을 장식하는 주가 차익으로 짭짤한 재미를 본 성공투자 스토리는 '긍정적인 시각'만을 강요하는 요소다.
앞으로도 '쭉' 장밋빛 투자환경에 대한 기대감에 미리 샴페인을 터뜨릴 수 밖에 없게 만든다. 포트폴리오에서 주식투자 비율을 높이고 좀더 높은 투자 수익을 위해 이머징 마켓의 주식에도 눈독 들이게 된다.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더 큰 리스크를 안기 시작했고, 객관적으로 시장을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위험이 가시화되는 시기는 갑자기 찾아온 듯 하지만, 이미 경기 순환구조 상 이미 예고된 하락장 속에서다. 암울한 투자 여건 속에서 수익률이 더 악화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고 주식을 팔아 채권, MMF(머니마켓펀드), CD(양도성 예금증서)등 대체수단을 찾아 리스크를 줄였다고 믿는다.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만 보이는 상황에서 하락장에서 빠져나온 게 보다 안전할 수 있지만 역시 리스크는 존재한다. 바로 손절매에 따른 최대손실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경기가 다시 살아난 상승장에 투자할 기회를 잃게 된 것이다.
투자자의 감정과 느낌, 반응은 자연스럽지만 경제와 시장이 경기순환구조를 따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사실은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이미 대공황 이후 주기적으로 거쳐왔다.
따라서 경기순환에 따른 투자여건을 예상해서 중장기적인 가치투자 전략을 고려한다면, 현 시점에서 투자자들은 평상심을 잃지 말고 거시경제의 펀더멘털을 읽어 낼 수 있는 능력과 리스크 관리의 힘을 기르는 노력이 절실하다.
[뉴스콘텐츠 신디케이트 리포터 노상욱]
머니닥터 : 노상욱 (뉴스콘텐츠 신디케이트 리포터)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