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부동산 완전정복] 초급매로 전원주택 장만하기[5]
추천 0 | 조회 21949 | 번호 1472 | 2008.11.19 09:21 금융 (finance1.***)

값싼 급매물 풍부한 시기는 겨울

 

 철도공무원인 이○○(48)씨는 요즈음 전원주택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일단 도심 부동산의 가격이 많이 올라 있는데다 관심 있는 수도권 주변에서 가격이 바닥을 친 초급매물이 늘고 있다는 말에 솔깃한 것이다. 게다가 시골 출신인 이 씨는 나이가 들면서 고향에 대한 향수에 가끔 젖어들기도 했다.

 전원주택 투자를 고민하던 이 씨는 얼마 전 경기도의 한 지역에 있는 한 주택을 답사하고 왔다. 주 5일 근무제 정착으로 한결 시간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한 그가 여가활용을 위해 본격적인 매입을 서둘러보려 한 것이다. 답사 한 주택은 올 초 3억5000만원에 매입하려 했던 대지 460㎡에 건물 85㎡짜리 매물인데 다시 중개업자에게 연락이 와 찾아가보니 올 초보다 크게 가격이 낮춰진 2억6000만 원으로 나와 있는 것이 아닌가.

 

 주인을 만나 다시 가격을 낮춰 매물로 내놓은 이유를 알아보니 대출을 안고 매입한 주택이어서 이자부담만 한 달에 70만 원에 달해 갖고 있을수록 손해라며 급하게 처분하려한다고 했다. 2년 전 주인이 매입할 때만 해도 거래되는 시세는 4억 원이었는데 지금은 턱 없이 낮은 값에 매물로 내놓아도 사려고 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이제는 서둘러 처분해 사업자금으로 활용해야 겠다며 매입을 부탁한다며 사정했단다.

 

 이렇듯 전원주택 시장에는 경기침체와 맞물러 대출 많이 낀 전원주택들이 이자부담 때문이라도 서둘러 매각하려는 매물들이 흔해졌다. 전원생활의 낭만을 접고 서둘러 되팔려는 급매물은 중개업소에 꾸준히 나오고 있다. 또 전원주택 개발사업자들이 팔지 못해 20~30% 땡처리 용으로 나온 매물에서부터 시세보다 30~40% 싸게 입찰에 부쳐지는 경매와 공매물들이 늘고 있다. 어려운 시기를 맞아 환금성이 떨어지는 전원주택을 값싸게 매입하는 기회가 넓어진 셈이다.

 

 가격이 싸진 전원주택 시장을 비관적으로 봐라볼 필요는 없다. 최근 농지법 개정과 레저 붐과 함께 주 5일 근무제 정착으로 전원주택 투자는 멀리 봤을 때 오히려 투자적기이다. 주 5일제 탓에 부동산 ・ 레저시장이 점점 수도권과 지방으로 넓어져 주말과 전원 관련 산업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가족 나들이는 꾸준해 경기의 변동에 영향이 미미한 상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어려운 경기영향 탓에 당분간 초급매물 전원주택의 공급이 늘어 불경기를 이용해 미리 전원주택으로의 이주를 원하는 실속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향후 2년 내외 기간 안에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사실 그 동안 전원주택시장은 살아날듯 하다가 무너지고 다시 살아났다가 고전하는 등 부침이 심한 현상을 나타냈다. 전원주택은 실패한 투자 상품이라는 오명(?)도 받고 있다. 실제 전원주택은 경기 여파를 많이 타는데다 경기불황으로 국민 전체의 소득이 줄어들어 시골주택 수요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하지만 서서히 환경이 바뀌고 있다. 현재 전원주택 매물은 일부 자산가만이 찾는 주택이 아니다. 수도권 일대에서 중개업소 거래현장에 있다 보면 가격만 충분히 낮게 형성돼 있다면 급매가격으로 매입하려는 수요가 얼마든지 있다. 초급매물은 재빨리 팔려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수요는 많지 않은 탓에 매수자 위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원주택의 경우 값싸고 매물이 풍부한 시기는 비수기로 꼽는 겨울이다. 투자자들의 발길이 뜸한 시기를 노려 여러 매물을 비교한 후에 투자하면 값싸고 투자가치 높은 전원주택의 주인이 될 수 있다.

 소위 수도권 인기지역인 경기도 용인 ․ 광주 ․ 양평지역 개발택지의 경우 평당 80~150만 원선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용인 ․ 수지 일대가 80~150만 원, 용인 양지와 광주는 60~120만 원, 양평 30~100만원, 여주 20~50만 원선이다. 덩어리가 큰 필지거나 대출 많이 받은 초급매물의 경우는 거래 시세의 20~30% 안팎, 경매와 공매는 30~40% 값싸게  매입할 수 있다.

 

 

 테마형 전원주택으로 수익 올려라

 

 전원주택을 단순히 주말주택으로 매입한다면 몰라도 실거주 및 투자수익을 고려하며 투자를 접근한다면 테마형 상품으로도 개발이 가능하다.

 현재 가격이 크게 하락한 펜션형 전원주택이나 민박을 겸한 전원주택, 카페형 전원주택 등이 관심을 끌고 있는 상품유형인데 올 하반기 들어 중개업소에는 급매물이 많이 공급되고 있다. 팜스테이와 같이 시골을 체험할 수 있는 상품이 레저를 겸할 수 있는 테마형 전원주택, 소규모 임대 전원주택이다.

  펜션의 경우 테마형으로 개발한 상품은 다양하다. 건물 전체를 독채로 빌려주는 형태로 고급스러움, 편리함, 안락함을 느낄 수 있고 가족 단위나 단체 여행객이 사용하기에 알맞은 별장형 펜션에서부터 가족이나 이웃끼리 과일, 채소를 가꾸고 거두는 수확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체험형 펜션인 농원형 펜션이 요즘은 기본이다.

 

 이외에도 카페나 식당과 펜션이 결합된 형태로써 독특한 음식의 맛을 마케팅 전략으로 이용하여 더블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카페형과 레저 활동을 즐기는 고객이 주로 사용하는 유형으로 스키장, 낚시터, 등산코스, 골프장, MTB, 래프팅, 서바이벌게임, 하이킹코스를 이용하게 만든 레저형, 운영자가 시인, 화가, 예술가, 혹은 취미 이상의 예술적 재능이 있어 시 낭독, 도자기 공예, 갤러리, 판화, 조각, 서예, 영화감상, 별자리 관찰 등 다양하고 인상 깊은 문화적 체험을 즐길 수 있게 만든 테마형 펜션까지 다양하다.

 

 실제 유원지나 관광지 인근에 값싸게 나온 전원주택을 매입, 민박을 운영해 짭짤한 수익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적은 돈을 들여 투자한 후에 고정수입이 생기는 전원주택이라는 틈새시장을 발굴해 낸 것이다. 비수기 때는 주인이 별장으로 사용하다가 성수기에 임대를 놓아 높은 수익을 내는 전원주택으로 만듦으로써 창출하고 있다.

 

 이밖에 스키장이나 하계 휴양지로 사람 왕래가 많은 지역인 경우 투자 금액의 20%에 가까운 임대용 부동산도 주목받고 있다. 다만 테마형 상품은 대부분 서울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주위에 휴양지를 끼고 있어 레저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라야 가능한 사업이라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감안한 투자가 이뤄져야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

 

 ‘웰빙’이란 말로 압축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등장과 그린벨트 해제, 고속도로 개통, 농지취득 완화조치 등 수도권 토지 시장을 부추기는 재료가 겹치면서 수익형 전원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09년 개통 예정인 서울~춘천간 민자 고속도로 주변과 수도권 광역교통망이 구축되는 용인 ․ 문산 ․ 평택 ․ 화성 등지 주변의 민박형 전원주택 투자는 다른 사람들보다 한발 앞서 투자에 나서는 것이 좋다.


머니닥터 : 윤재호 (메트로컨설팅 대표 www.metro21c.co.kr)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