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종목토론방

SK하이니닉스,아마존 구글도 HBM 공급 싹쓸이
추천 0 | 조회 59 | 번호 13525036 | 2025.07.04 16:11 인천 (tykimkardash***)
SK하이닉스, 아마존·구글도 HBM 공급 싹쓸이
입력2025.07.04. 오후 3:19 수정2025.07.04. 오후 3:30 기사원문
박의명 기자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이어 아마존과 구글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최대 납품사로 올라선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가 큰손 고객을 대거 확보하면서 빅테크들의 자체 인공지능(AI) 칩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UBS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SK하이닉스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자체 AI가속기 트레이니엄 2.5와 트레이니엄 3(올 연말 출시)에 들어가는 5세대 HBM(HBM3E 8단) 물량의 100%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UBS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구글이 자체 설계한 AI칩 TPU(텐서프로세싱유닛) v7p 모델에 ‘제1 공급사’로 HBM3E 8단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차세대 모델인 TPU v7e에는 현재로서 HBM3E 12단 제품을 유일하게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UBS는 “SK하이닉스가 빅테크 고객 확보에 상당한 속도를 내고 있다”며 “삼성전자 등 경쟁사가 납품을 시도하고 있지만 SK하이닉스가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도 내년도 HBM 공급 물량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자체 AI 가속기 시장 규모는 지난해 120억달러(약 17조4000억원)에서 2027년 300억달러(약 43조5000억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빅테크 기업들이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체AI칩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HBM 시장점유율은 약 50%로 삼성전자(30%)와 마이크론(20%)을 압도한다. 최신 제품인 HBM3E만 놓고 보면 70%에 이른다.

박의명 기자
0
2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