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7년전 인물인 전영현 부회장을 반도체사업부 수장으로 복귀시킨지 1년이 지났다.당시 그는 구원투수 로 불렸다.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여전히 위기이자 달리진게 보이지 않는다.HBM 품질 논란 경쟁사와 격차 확대,실적 부진,그리고 끝없는 주가 하락,과연 그가 구원한 것은 무엇일까?
삼성전자 출신의 한 인사는 이건희 회장이 있었더라면 상상도 못한다 며 전영현 복귀로 변힌게 없으니 결국 인사 실패인데,삼성전자는 지금 인사시스템이 문제라고 지적했다.시대 착오적인 인사시스템이 얼마나 경직되고, 시대착오적인지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는 설명이다.
이건희 회장 시절이었다면 상상조차 어려운 일이다.당시 황창규 사장이 성과를 못 내자,이 회장은 내가 속았다 며 단호히 결단을 내렸다 . 그러나 이재용 회장은 7년전 경영에서 물러난 인물을 다시 불러들이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삼성전자가 후속 인재를 키우는데 실패했고,시스템이 미래를 준비하지 못했다는 방증이다.
HBM 전담팀 구성,공정 재설계,사과문 발표,주주 설득 등은 분명 노력이 있었다.하지만 실적은 반대로 움직였다. 영업이익은 급갑했고,D램 시장 1위 자리는 SK하이닉스에 내줬으며,HBM3E는 여전히 엔비디아의 품질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다.
이제는 묻지 않을 수 없다.전영현 부회장의 복귀가 삼성전자를 구원하고 있는가,아니면 인사시스템의 한계를 또렷하게 보여준 사례인가,그 답은 숫자와 시장이 이미 말하고 있지 읺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