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005930) BUY& #x2F;TP 71,000(유지& #x2F;유지) 실적 Surprise보다는 방향성에 주목할 때 & #x2F; 저점매수 유효
■ 투자포인트 및 결론 - 삼성전자에 대해 6개월 목표주가 71,000원 (12개월 Forward BPS에 Target P& #x2F;B 1.2배 적용)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함. 동사의 1분기 잠정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Galaxy S25 Series 판매 호조와 분기말 고객사들의 재고 축적으로 인해 추정치를 각각 3.1%, 24.7% 상회하는 79.0조원과 6.6조원을 기록하면서 Earning Surprise를 시현하였음.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DS 1.06조원, SDC 0.24조원, MX& #x2F;NW 4.42조원, VD& #x2F;가전 0.52조원, Harman 0.29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됨. 다만, 2분기부터 미국 관세 부과 우려로 인해 사업부별 불확실성이 고조될 것으로 보이며 유통 채널의 재고 조정이 재차 나타날 수 있음. Counter Point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삼성 스마트폰 출하량에서 미국 비중은 13.0%로 베트남에서 생산된 삼성 스마트폰에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스마트폰은 출하량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임. 계절적으로 2분기 삼성 스마트폰 출하량은 QoQ로 10% 이상 감소하였지만 금번 2분기 감소 폭은 미국 수요 위축으로 과거 평균치를 상회할 것으로 보임. 여기에 중국 스마트폰 수요도 1분기 보조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2분기 출하량은 QoQ로 16.4%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범용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Bit Growth는 예상보다 부진할 수 있고 고정가격 상승 폭도 시장 기대치 대비 낮을 수 있음
■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Micron은 올해 1월 Singapore에 HBM Packaging Capa 투자를 개시하였고 미국 신규 DRAM 공장 (HBM생산 예상) Ramp Up을 FY27년으로 예상하고 있음. SK하이닉스도 HBM Capa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사가 연내 NVIDIA로부터 HBM3e Qualification을 받더라도 NVIDIA내에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임
■ 주가전망 및 Valuation - 동사 주가는 미국 관세부과 우려로 재차 PBR 0.87배 (지배주주기준)수준까지 하락하였다는 점에서 Valuation 매력이 부각되고 있음. 동사의 DRAM 경쟁력이 향후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저점매수 전략 유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