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종목토론방

위기의 삼성 이재용 사즉생 각오로 대처
추천 0 | 조회 16 | 번호 13518229 | 2025.03.17 11:49 인천 (tykimkardash***)
한국경제
위기의 삼성, 메시지 던진 이재용…사즉생 각오로 대처
입력2025.03.17. 오전 7:11 수정2025.03.17. 오전 7:19 기사원문
박수림 기자

임원 대상 ‘삼성다움 복원’ 세미나서
독한 삼성인 주문 등…메시지 공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삼성 임원들에게 “삼성다운 저력을 잃었다며 사즉생’의 각오로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 2심 공판 최후진술에서 “최근 들어 삼성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언급한 데 이어 이번에 ‘사즉생’까지 언급한 이유는 그만큼 현재 삼성이 처한 위기 상황이 기업의 생존이 달릴 정도로 심각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임원 대상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 회장의 메시지를 공유했다. 삼성은 지난달 말부터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 계열사의 부사장 이하 임원 2000여명을 대상으로 ‘삼성다움 복원을 위한 가치 교육’을 실시 중이다.

이 회장은 영상에 담긴 메시지를 통해 “삼성은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에 직면했다”며 “경영진부터 통렬하게 반성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중요한 것은 위기라는 상황이 아니라 위기에 대처하는 자세”라며 “당장의 이익을 희생하더라도 미래를 위해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술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간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이라며 기술 경쟁력을 강조해왔다.

세미나에선 이어 교수 등 외부 전문가들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삼성의 위기 등을 주제로 강연했다. 참석자들은 내부 리더십 교육 등에 이어 세부 주제에 관해 토론하며 위기 대처와 리더십 강화 방안 등을 모색했다.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에서 범용 메모리의 부진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납품 지연 등으로 지난해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을 기록했다. 2024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TV 시장 점유율이 2023년 30.1%에서 지난해 28.3%로 하락했다. 스마트폰(19.7%→18.3%), D램(42.2%→41.5%) 등 주요 제품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다만 미래 준비를 위한 비용은 확대하면서 연구개발비와 시설투자비는 지난해 각각 35조원과 53조6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그룹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삼성글로벌리서치 산하에 신설한 경영진단실은 지난 1월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시스템LSI 사업부에 대한 경영진단에 나서기도 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의 미래 사업 발굴을 위한 신사업 태스크포스를 신사업팀으로 격상시키며 미래 먹거리 발굴과 대형 인수·합병(엠엔에이) 등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