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적 측면: 최근 실적과 전망 삼성전자는 2024년 4분기 매출액 77.5조원(YoY +14%, QoQ -2%)과 영업이익 7.4조원(YoY +163%, QoQ -1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문의 실적 하향 조정에 따른 결과입니다. DRAM과 NAND 가격 하락폭이 예상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비메모리 부문에서도 비용 반영으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2025년 실적 전망도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DRAM과 NAND 가격 가정이 하향 조정되었으며, 주요 고객사향 HBM 매출액 개시도 지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가 기존 대비 26%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사업적 측면: 메모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부문은 DRAM과 NAND 가격 하락으로 인해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DRAM 가격은 2024년 4분기부터 하락하기 시작했으며, 주요 고객사향 HBM 매출액 개시도 지연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부문은 경쟁 업체의 수율 안정화로 인해 북미 고객사 내 점유율이 축소되며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폰 부문은 플래그십 비중 축소로 인해 물량과 가격 모두 전분기 대비 역성장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VS& #x2F;가전 부문은 연말 쇼핑 시즌 가격 경쟁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투자 포인트: 저평가된 주가와 HBM 매출 확대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의견은 & #x27;BUY& #x27;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84,000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연간 영업이익을 기존 대비 26% 하향 조정하고, 적용 EBITDA를 2025년 연간 실적으로 변경한 결과입니다. IT 수요 약세로 메모리 가격이 부진하지만, DRAM의 가격 하락이 2개 분기 만에 마무리될 가능성이 있어 주가 선반영을 고려하면 1분기 중에 비중 확대 기회가 올 것으로 판단됩니다. 삼성전자의 HBM CAPA는 경쟁사들 대비 운영 여력을 확보하고 있어 HBM 매출액 상향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현재 PBR 0.9배 내외로 여전히 저평가 구간에 있습니다.
출처 하나금융투자 | 2025-01-03
위 내용은 주식 전문가가 개발한 dolfin.plus의 AI 에이전트 ‘돌핀 투자비서’ 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