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선·LS에코·가온전선 등 해외 수주 따내며 실적 성장세 올해 주가 추가 상승 여력 커 변압기 관련 종목의 주가가 급등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오른 전선 관련 종목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치솟은 전력기기株…다음은 전선株의 시간11일 대한전선은 0.23% 오른 88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연초 이후 3.24% 하락했다. 같은 기간 LS에코에너지는 13.21% 내렸다. 가온전선과 대원전선은 각각 27.59%와 7.78% 올랐지만 변압기 종목에 비교하면 상승이 더디다. HD현대일렉트릭, 제룡전기, 효성중공업의 연초 이후 주가 상승률은 각각 60.58%, 55.61%, 42.99%에 이른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전선주는 변압기 종목에 비해 주가가 지지부진해 외면받았지만 수주 소식이 잇따르고 실적도 성장세여서 관심을 둘 만하다”고 말했다.
대한전선은 최근 글로벌 인프라기업 밸푸어비티가 영국 북부지역의 신규 초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사업에 전선을 공급하기로 하는 3800만달러(약 508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가온전선의 모회사이자 국내 1위 전선업체인 LS전선도 대만과 유럽 북해 지역의 해상풍력발전소에 설치될 해저케이블을 공급하기로 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LS전선과 대한전선의 수주잔액은 각각 4조3677억원과 1조6288억원으로, 1년 전 대비 48.2%와 20.5% 늘었다.
실적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한전선의 작년 연간 영업이익은 789억원으로, 전년 대비 63.71% 증가했다. 2008년 이후 15년 만의 최대치다. 대원전선과 가온전선도 작년 영업이익이 1년 전에 비해 각각 880.13%, 53.60% 늘었다. 영업이익 성장률은 HD현대일렉트릭(136.98%)과 효성중공업(79.99%)에 견줘 밀리지 않는다.
전력기기 산업이 당분간 호황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도 전선주에 호재다. 인공지능(AI)과 전기차 등 전력 소모가 큰 신기술이 등장하고 선진국 전력 인프라의 노후화, 친환경에너지 전환 등이 맞물리면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글로벌 전력망 투자 규모가 2020년 2350억달러(약 310조원)에서 2030년 5320억달러(약 702조원)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금만 2조원 호반건설 대한전선 대주주 이야기
서초구 산기슭에 살지만"…& #x27;2조& #x27; 현금부자 회사의 변신 입력2024.02.23. 오전 6:02 기사원문
호반건설 서울 우면동에 본사 2조원 현금에…부동산 1조원 M&A 시장 큰손…인력 보강 나서 대한전선·서울신문, 한진칼 지분 매입 이 기사는 02월 22일 17:38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호반건설 사옥 전경. 사진=호반건설
"산기슭에 회사 사옥을 지었네."
호반건설 본사를 찾는 사람들은 종종 불평한다. 본사가 광화문·여의도 등 도심과는 동떨어졌기 때문이다. 서울 서초구 우면동 본사는 우면산·청계산에 둘러싸여 있다. 1989년 광주광역시를 기반으로 출범한 이 회사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아파트로 현금을 쓸어 담았다. 보유한 금융자산만 2조원에 육박했다. 땅부자이기도 한 호반건설이 최근 인수합병(M&A) 시장에 재차 눈독을 들이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은 최근 신사업전략·M&A 담당 경력직원을 선발하기 위해 지원서류를 받고 있다. 자격요건은 지주사와 대기업, 중견기업에서 전략기획·경영기획·경영관리를 수행한 7~13년차 경력직이다.
주요 업무는 자문사 선정, 실사와 주식매매계약(SPA) 협상, 인수후합병(PMI) 등을 총괄하는 M&A 작업이다. 여기에 신규사업 검토와 계열사 경영관리, 신규 투자처 발굴 및 경제성 검토 등도 한다. 서류전형과 1,2차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된다.
‘호반베르디움’을 앞세워 주택 분양사업을 하는 이 회사는 광주 지역 건설업체에서 전국구로 발돋움하며 현금을 쓸어 담았다. 호반건설은 호반산업과 대한전선과 함께 호반그룹의 주축 회사다. 2022년 말 이 회사가 보유한 현금성자산과 금융자산 합계는 1조8672억원에 이른다. 이밖에 부동산을 비롯한 유형자산은 9560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56.9%에 불과했다.
탄탄한 재무구조를 갖췄지만, 건설업 비중이 높은 탓에 M&A 등 신사업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사는 M&A 시장에 단골손님이기도 했다. 김상열 호반건설 창업주 주도로 2010년 초중반에 옛 울트라건설(현 호반산업)과 제주 퍼시픽랜드를 인수한 바 있다. 이어 금호산업 동부건설 블루버드CC SK증권 대우건설 인수전에도 참여했지만 고배를 마시기도 했다. 2021년에는 대한전선과 서울신문을 인수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지분 17.44%를 확보하기도 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그 특수관계인 지분(18.74%)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현금이 넘치는 만큼 & #x27;빅딜& #x27;이 뜰 때마다 유력한 인수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최근 M&A 인력을 보강하는 만큼 올해 시장에 나오는 매물을 관심 있게 들여다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