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종목토론방

짐펜트라. 3조 매출...[1]
추천 7 | 조회 262 | 번호 13479900 | 2023.11.06 18:05 무심천맨 (minn***)
"짐펜트라, 이미 미국 내 큰 관심…시장 빠르게 확보할 것"

& #x27;3년 내 매출 3조& #x27; 기대 FDA 승인 신약
"의사·환자 모두 기대 큰 상황"
"PBM 등재, 시점보다 & #x27;내실& #x27;이 중요"
"짐펜트라는 미국 염증성 장 질환(IBD) 시장에 새로운 흐름을 이끌 신약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토마스 누스비켈(Thomas Nusbickel) 셀트리온헬스케어 미국 법인(셀트리온 USA) 최고상업책임자(CCO)는 6일 아시아경제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 #x27;짐펜트라(성분명 인플릭시맙)& #x27;에 대해 "치료 효능은 물론 편의성이 개선된 강점을 바탕으로 더 많은 미국 내 환자들의 삶의 질을 변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치료제가 될 것"이라며 높은 기대를 걸었다. 지난 2월 취임한 누스비켈 CCO가 한국 언론과 공식 인터뷰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짐펜트라는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 #x27;3년 내 매출 3조원& #x27;을 자신하는 등 & #x27;신약 개발 기업& #x27; 통합 셀트리온의 선봉에 서 있는 약물이다. 2030년에는 무려 5조원의 글로벌 매출을 제시한 가운데 내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미국 출시는 그 여정의 출발점이 될 전망이다.

짐펜트라는 지난달 20일 국산 바이오의약품 중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으로 승인을 받았다. 크론병(CD), 궤양성 대장염(UC) 등 IBD를 포함한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쓰인다. 주성분인 인플릭시맙은 1998년 최초의 종양괴사인자(TNF)-α 억제제로 승인됐다. 이후 25년간 다양한 TNF-α 억제제가 나왔지만 인플릭시맙은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을 기반으로 여전히 미국 IBD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투약 편의성이 높은 피하주사(SC) 제형이 개발되지 못하고 계속 초기의 정맥주사(IV) 형태로 치료가 이뤄지고 있어 제형 변경에 대한 요구가 높기도 했다.

오리지널 개발사도 하지 못한 인플릭시맙 SC제형 개발에 성공한 셀트리온그룹의 짐펜트라가 높은 기대를 받는 이유다. 짐펜트라는 성분을 새롭게 개발한 게 아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임에도 FDA에서 제형 변경의 가능성을 높이 사 먼저 신약 허가 신청을 권유하기도 했다. 누스비켈 CCO는 "인플릭시맙은 20년 이상 검증된 유효성·안전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국 IBD 치료제 시장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짐펜트라는 SC제형으로 투약 편의성이라는 경쟁력까지 더해져 환자들의 높은 선호에 기반해 시장을 빠르게 확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7
1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