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그룹 계열사 남선알미늄이 소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펼치는데는 일반주주들의 회사 경영에 대한 무관심도 한 몫하고 있다. 앞서 우오현 SM그룹 회장과 남선알미늄은 사내에 2000억원 가량의 익잉여금(유보금)을 보유하고도 사실상 배당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해 논란이 됐다. 하지만 일반주주들은 배당 안건 등을 논의할 정기주주총회(주총)에서조차 의결권 행사를 포기하는 등 여전히 주주활동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5일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따르면 올해 3월30일 진행된 남선알미늄 주주총회(주총)에서 전자투표로 의결권을 행사한 일반주주 지분은 2.48%에 그쳤다. 이는 예탁결제원이 산출한 전체 상장사 평균치(10.21%)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시장에선 일반주주들이 전자투표뿐만 아니라 실제 의결권 행사분도 적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주총회 개최일이 슈퍼주총데이(주주총회집중일)였던 만큼 의결권이 분산됐을 가능성이 큰 데다 장소 또한 인구밀집지역(수도권)이 아닌 대구에서 열린 까닭이다.
주주들이 별 관심을 안 보이다 보니 남선알미늄은 주총에 올린 재무제표 승인, 우오현 회장 재선임, 사외이사 선임, 이사 보수한도 확정 등의 안건을 모두 원안대로 처리할 수 있었다. 최근 행동주의 소액주주들이 회사가 낸 주총 안건에 반대표를 던지는 식으로 대주주를 견제하는 것과는 상당히 대비된다.
관련기사more우오현 장남 우기원, HMM 주식 110억어치 매입남선알미늄 & #x27;배당농락& #x27;, 우오현이 짰다남선알미늄 배당 & #x27;그림의 떡& #x27;…실현불가 수치 남선알미늄 일부 주주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허탈하단 반응을 보이고 있다. 주주 다수가 반발할 만한 사안이 발생했음에도 정작 의결권 행사 주식수가 적어 우오현 회장 등 경영진에 주주들의 의중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단 이유에서다.
우오현 회장 등이 포함된 남선알미늄 이사회는 작년 11월 국민연금공단의 배당정책 공지 요구에 답변하는 차원으로 & #x27;2023~2025년 중장기 배당정책& #x27;을 발표했다. 골자는 개별기준 영업이익률 10%이상 시 초과분의 10%를 배당재원으로 활용하겠단 것인데 당시 주주들은 회사가 배당 의지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며 반발했다. 남선알미늄은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영업적자를 낸 터라 배당을 하려면 우방 등 관계기업 이익이 더해지는 연결기준 순이익을 기준으로 삼았어야 했다는 것이다.
한 남선알미늄 주주는 "남선알미늄은 연결기준으론 매년 순이익이 나는 회사이자 2000억원(2085억원)가량의 유보금이 있는 기업이지만 우 회장 등 이사회 멤버는 배당을 줄 생각이 전혀 없어 보인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문제는 회사가 & #x27;이낙연 테마주& #x27;로 각인된 영향 등으로 단기 주가상승을 노리는 투자자 비중이 많다는 것"이라며 "최근 행동주의 주주들의 사례가 많아졌다곤 하지만 몇몇 기업을 제외하곤 대주주가 다수의 주주들을 챙기는 경우는 여전히 손에 꼽는 수준인 것 같다"고 토로했다(딜사이트 최보람 기자)